본문 바로가기
2009.08.07 07:27

문진

조회 수 777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문진

언어예절

사람 됨됨이를 몸·말·글·재치(신언서판) 따위로 가리고는 있지만 제대로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보통사람도 그렇지만 사회에는 특별한 사람들이 많다. 예컨대 의사가 환자를 보고 대뜸 어디를 어떻게 앓는지 안다면 웬만한 병은 반나마 고친 것과 같을 터이다.

의사가 환자를 볼 때, 먼저 말로 묻고 기색을 살핀다. 대개는 아픈 데를 물어보고 듣고 되묻는 과정이다. 환자 역시 솔직하게 아픈 정도와 부분, 그동안의 경과, 불편하기 시작한 때, 먹은 음식이나 관련된 증세를 될수록 자세히 말할 필요가 있다. 서로 믿고 존중하는 자세가 바탕이겠다.

환자로서는 큰 병인지 작은 병인지, 약만 먹고 나을 수 있는지, 수술을 해야 하는지, 다른 검사를 해야 하는지, 치료비와 치료 기간은 얼마나 될지 궁금한 것이 많다. 의사가 이런 처지를 잘 헤아려 속시원하고 편안하게 해 줄 수 있다면 그만한 덕이 없을 터이다.

수술 뒤나 치료할 때, 회진 때도 문진(問診)을 한다. 환자와 의사가 소통하는 좋은 방식이라 하겠다. 그 언어는 사람들이 보통 쓰는 쉬운 말이지만, 특히 환자가 아픈 증세를 설명할 때 우리 고유의 시늉말과 비유들, 독특한 동사들이 많이 쓰인다.

문제는 진료기록, 처방전 등에서 쓰는 의사들의 전문용어나 글자가 환자와의 소통을 방해한다는 점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9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4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313
2050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492
2049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482
2048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78
2047 진보적 바람의종 2009.11.19 9470
2046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69
2045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466
2044 삘건색 바람의종 2010.06.08 9464
2043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63
2042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62
2041 복허리에 복달임 바람의종 2010.06.19 9460
2040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457
2039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57
2038 잇따르다와 잇달다 바람의종 2010.01.19 9450
2037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48
2036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447
2035 거꾸로 가는 지자체 바람의종 2011.12.28 9443
2034 젊은이들의 유행어 바람의종 2010.03.14 9442
2033 참말 바람의종 2009.09.01 9440
2032 칠거지선(七去之善) 바람의종 2010.03.05 9439
2031 삐까삐까 바람의종 2008.02.14 9438
2030 장애, 장해 바람의종 2009.08.03 9430
2029 불쾌한 반응 바람의종 2012.06.20 94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