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7 07:27

문진

조회 수 776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문진

언어예절

사람 됨됨이를 몸·말·글·재치(신언서판) 따위로 가리고는 있지만 제대로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보통사람도 그렇지만 사회에는 특별한 사람들이 많다. 예컨대 의사가 환자를 보고 대뜸 어디를 어떻게 앓는지 안다면 웬만한 병은 반나마 고친 것과 같을 터이다.

의사가 환자를 볼 때, 먼저 말로 묻고 기색을 살핀다. 대개는 아픈 데를 물어보고 듣고 되묻는 과정이다. 환자 역시 솔직하게 아픈 정도와 부분, 그동안의 경과, 불편하기 시작한 때, 먹은 음식이나 관련된 증세를 될수록 자세히 말할 필요가 있다. 서로 믿고 존중하는 자세가 바탕이겠다.

환자로서는 큰 병인지 작은 병인지, 약만 먹고 나을 수 있는지, 수술을 해야 하는지, 다른 검사를 해야 하는지, 치료비와 치료 기간은 얼마나 될지 궁금한 것이 많다. 의사가 이런 처지를 잘 헤아려 속시원하고 편안하게 해 줄 수 있다면 그만한 덕이 없을 터이다.

수술 뒤나 치료할 때, 회진 때도 문진(問診)을 한다. 환자와 의사가 소통하는 좋은 방식이라 하겠다. 그 언어는 사람들이 보통 쓰는 쉬운 말이지만, 특히 환자가 아픈 증세를 설명할 때 우리 고유의 시늉말과 비유들, 독특한 동사들이 많이 쓰인다.

문제는 진료기록, 처방전 등에서 쓰는 의사들의 전문용어나 글자가 환자와의 소통을 방해한다는 점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13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76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2770
1782 대충 風磬 2006.11.06 8502
1781 주책없다 바람의종 2007.05.22 8503
1780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503
1779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8504
1778 움과 싹 바람의종 2008.01.03 8508
1777 옥새와 옥쇄 바람의종 2008.09.06 8508
1776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2.09.19 8512
1775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516
1774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18
1773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20
1772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521
1771 실업난 바람의종 2009.02.04 8521
1770 여부(與否) 바람의종 2010.01.20 8523
1769 담다 / 담그다 바람의종 2012.03.02 8523
1768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524
1767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24
1766 연패(連敗) / 연패(連覇) 바람의종 2010.03.12 8527
1765 총각김치 바람의종 2008.09.04 8530
1764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531
1763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536
1762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538
1761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