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7 07:27

문진

조회 수 779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문진

언어예절

사람 됨됨이를 몸·말·글·재치(신언서판) 따위로 가리고는 있지만 제대로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보통사람도 그렇지만 사회에는 특별한 사람들이 많다. 예컨대 의사가 환자를 보고 대뜸 어디를 어떻게 앓는지 안다면 웬만한 병은 반나마 고친 것과 같을 터이다.

의사가 환자를 볼 때, 먼저 말로 묻고 기색을 살핀다. 대개는 아픈 데를 물어보고 듣고 되묻는 과정이다. 환자 역시 솔직하게 아픈 정도와 부분, 그동안의 경과, 불편하기 시작한 때, 먹은 음식이나 관련된 증세를 될수록 자세히 말할 필요가 있다. 서로 믿고 존중하는 자세가 바탕이겠다.

환자로서는 큰 병인지 작은 병인지, 약만 먹고 나을 수 있는지, 수술을 해야 하는지, 다른 검사를 해야 하는지, 치료비와 치료 기간은 얼마나 될지 궁금한 것이 많다. 의사가 이런 처지를 잘 헤아려 속시원하고 편안하게 해 줄 수 있다면 그만한 덕이 없을 터이다.

수술 뒤나 치료할 때, 회진 때도 문진(問診)을 한다. 환자와 의사가 소통하는 좋은 방식이라 하겠다. 그 언어는 사람들이 보통 쓰는 쉬운 말이지만, 특히 환자가 아픈 증세를 설명할 때 우리 고유의 시늉말과 비유들, 독특한 동사들이 많이 쓰인다.

문제는 진료기록, 처방전 등에서 쓰는 의사들의 전문용어나 글자가 환자와의 소통을 방해한다는 점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52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45
708 마도로스 바람의종 2009.08.29 6155
707 쟈고미 바람의종 2009.08.27 6909
706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3
»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97
704 청설모 바람의종 2009.08.07 8753
703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636
702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54
701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58
700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54
699 오디새 바람의종 2009.08.04 8908
698 스킨십 바람의종 2009.08.04 7341
697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73
696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643
695 머슴날 바람의종 2009.08.02 7229
694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719
693 추리닝 바람의종 2009.08.01 6852
692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17
691 겁나 바람의종 2009.07.31 8626
690 바람의종 2009.07.31 7932
689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86
688 슬리퍼 바람의종 2009.07.29 6953
687 짠지 file 바람의종 2009.07.29 64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