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7 07:26

청설모

조회 수 875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청설모

짐승이름

“양떼구름 무리지어 놀고 있네/ 그리움 한 뼘씩 물어뜯으며/ 비대해진 바람이 지나가면서 잎새들의/ 어깨를 툭툭 치며 가네// 청설모 서너 마리 그네 타는 숲을 건너/ 집요하게 알곡을 챙기고, 우물가/ 개복숭아 욕심껏 햇살 퍼 담네/ 떫은 속 노을로 채우고 있네”(류제희의 ‘가을, 율사리’ 중에서)

오솔길을 걷노라면 솔방울 까먹고 버리는 껍질들이 수럭수럭 나뭇잎이 되어 떨어져 내리는 듯하다. 가까이 가도 그리 무서워하는 눈치도 아니다. 나무를 오르내리는 데 전혀 어려움이 없다. 청서(靑鼠)는 다람쥐의 일종이다. 청서에 리을이 덧붙고, 털이 있는 특징을 잡아 모(毛)를 더해 청설모라 이른 것이다. 청설모는 꼬리에 털이 많고 길며, 귀에도 긴 털이 나 있다. 긴 꼬리의 털 덕에 나무에서 떨어져도 다치지 않으며 헬리콥터의 꼬리날개처럼 방향을 마음대로 바꾸기도 한다는데, 등은 붉은빛이 도는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종이 있으며, 배는 흰색이다.

청서는 나무 타기 선수다. 몸도 나무 위에서 살기에 알맞게 돼 있다. 발톱이 워낙 날카로워 미끄러운 나무줄기도 잘 기어오른다. 가느다란 가지 위에서도 균형을 잘 잡는다. 먹이는 나무열매·곤충·새순·새알 등이며, 나무 위에 집을 짓고 4~10월에 한배에 3~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청설모가 있는 곳에서는 동요 속에 나오는 다람쥐들은 살 수가 없다. 황소개구리에게 밀린 개구리 신세가 된 것인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0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5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439
2754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960
2753 꺼벙이 바람의종 2009.07.27 7167
2752 신청·청구 바람의종 2009.07.28 8453
2751 나수 좀 드소! file 바람의종 2009.07.28 6044
2750 짠지 file 바람의종 2009.07.29 6489
2749 슬리퍼 바람의종 2009.07.29 6943
2748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61
2747 바람의종 2009.07.31 7928
2746 겁나 바람의종 2009.07.31 8613
2745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14
2744 추리닝 바람의종 2009.08.01 6841
2743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719
2742 머슴날 바람의종 2009.08.02 7229
2741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615
2740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56
2739 스킨십 바람의종 2009.08.04 7335
2738 오디새 바람의종 2009.08.04 8903
2737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46
2736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45
2735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42
2734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616
» 청설모 바람의종 2009.08.07 87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