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7 07:26

청설모

조회 수 874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청설모

짐승이름

“양떼구름 무리지어 놀고 있네/ 그리움 한 뼘씩 물어뜯으며/ 비대해진 바람이 지나가면서 잎새들의/ 어깨를 툭툭 치며 가네// 청설모 서너 마리 그네 타는 숲을 건너/ 집요하게 알곡을 챙기고, 우물가/ 개복숭아 욕심껏 햇살 퍼 담네/ 떫은 속 노을로 채우고 있네”(류제희의 ‘가을, 율사리’ 중에서)

오솔길을 걷노라면 솔방울 까먹고 버리는 껍질들이 수럭수럭 나뭇잎이 되어 떨어져 내리는 듯하다. 가까이 가도 그리 무서워하는 눈치도 아니다. 나무를 오르내리는 데 전혀 어려움이 없다. 청서(靑鼠)는 다람쥐의 일종이다. 청서에 리을이 덧붙고, 털이 있는 특징을 잡아 모(毛)를 더해 청설모라 이른 것이다. 청설모는 꼬리에 털이 많고 길며, 귀에도 긴 털이 나 있다. 긴 꼬리의 털 덕에 나무에서 떨어져도 다치지 않으며 헬리콥터의 꼬리날개처럼 방향을 마음대로 바꾸기도 한다는데, 등은 붉은빛이 도는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종이 있으며, 배는 흰색이다.

청서는 나무 타기 선수다. 몸도 나무 위에서 살기에 알맞게 돼 있다. 발톱이 워낙 날카로워 미끄러운 나무줄기도 잘 기어오른다. 가느다란 가지 위에서도 균형을 잘 잡는다. 먹이는 나무열매·곤충·새순·새알 등이며, 나무 위에 집을 짓고 4~10월에 한배에 3~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청설모가 있는 곳에서는 동요 속에 나오는 다람쥐들은 살 수가 없다. 황소개구리에게 밀린 개구리 신세가 된 것인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302
1764 불닭 바람의종 2009.07.13 6256
1763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273
1762 불야성 바람의종 2007.07.16 6332
1761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899
1760 불은 라면 바람의종 2012.08.01 8986
1759 불쾌한 반응 바람의종 2012.06.20 9446
1758 불티나다 風磬 2006.12.23 7613
1757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84
1756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508
1755 불현듯이 風磬 2006.12.23 8003
1754 불호령 風磬 2006.12.23 8927
1753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343
1752 붙이다, 부치다 바람의종 2012.01.07 15990
1751 붙이다, 부치다 바람의종 2012.09.06 17105
1750 붙이다와 부치다 바람의종 2010.03.05 11094
1749 브로마이드(bromide) 바람의종 2008.02.13 9323
1748 블루스 바람의종 2010.02.28 9032
1747 비갈망 바람의종 2008.01.29 8550
1746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22
1745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565
1744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54
1743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2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