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5 05:01

생각 뒤

조회 수 833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생각 뒤

언어예절

움직임은 생각 끝에 나올 수도, 생각 없이 할 수도 있다. 말도 움직임의 한 가지로서, 생각 끝에 또는 생각 없이 할 수도 있다. 물질·몸·목숨에서 본능이, 그다음에 생각이 온다면, 이는 좀더 나아간 경지임을 알 수 있다.

헤아림·욕심·판단·기억·상상·마음·의견·견해·사상·느낌·성의·배려 따위 여럿으로 갈래를 잡을 만큼 생각이란 말은 폭넓게 쓰인다.

특히 성의·배려로 일컫는 ‘생각’이 행동·예절과 잇닿는다. ‘눈치를 본다’면 소극적이지만, ‘헤아린다’는 데 이르면 이는 적극적인 표현이 된다. 남을 돕고 보살피는 일이 사람 행동의 끝인 셈이다. 한편, 생각은 있어도 행동에는 굼뜰 수 있다. 게으름도 미덕일 때가 있으나 때를 놓치기 쉽다.

사회·공산·자본 따위 여러 ‘주의·주장’들이 삶의 형편을 헤아려 나왔고, 제도·문물들도 그렇다.

아름다운 ‘생각’도 치우치고 잘못 행사하면 어려움을 부른다. 오래 지켜 가기가 쉽지 않은 까닭이다. 인류를 유지하는 데 생각이 큰 몫을 한다. 오늘날 지구가 앓는 것은 사람의 생각 가운데 욕심·욕망이 성하여 자신과 자연을 망치게 된 본보기인 셈이다.

‘생각’의 미덕은 삼가는 것으로 나타나고, 이는 말이 아닌 실천으로 이어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2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0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45
1874 생물·화학무기 바람의종 2008.04.05 10486
1873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604
1872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582
1871 생때, 생떼 바람의종 2010.04.10 9986
1870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161
1869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28
»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30
1867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18
1866 샌드위치 바람의종 2008.02.15 7669
1865 샌님 風磬 2006.12.29 10609
1864 색깔이름 바람의종 2008.01.29 21790
1863 색감 바람의종 2009.02.04 6380
1862 새해 인사 바람의종 2008.06.03 6553
1861 새이방우, 새미골 바람의종 2008.07.05 6679
1860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34
1859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368
1858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230
1857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143
1856 새말 만들기 바람의종 2007.10.12 7780
1855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135
1854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410
1853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바람의종 2010.04.02 113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