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5 05:01

생각 뒤

조회 수 836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생각 뒤

언어예절

움직임은 생각 끝에 나올 수도, 생각 없이 할 수도 있다. 말도 움직임의 한 가지로서, 생각 끝에 또는 생각 없이 할 수도 있다. 물질·몸·목숨에서 본능이, 그다음에 생각이 온다면, 이는 좀더 나아간 경지임을 알 수 있다.

헤아림·욕심·판단·기억·상상·마음·의견·견해·사상·느낌·성의·배려 따위 여럿으로 갈래를 잡을 만큼 생각이란 말은 폭넓게 쓰인다.

특히 성의·배려로 일컫는 ‘생각’이 행동·예절과 잇닿는다. ‘눈치를 본다’면 소극적이지만, ‘헤아린다’는 데 이르면 이는 적극적인 표현이 된다. 남을 돕고 보살피는 일이 사람 행동의 끝인 셈이다. 한편, 생각은 있어도 행동에는 굼뜰 수 있다. 게으름도 미덕일 때가 있으나 때를 놓치기 쉽다.

사회·공산·자본 따위 여러 ‘주의·주장’들이 삶의 형편을 헤아려 나왔고, 제도·문물들도 그렇다.

아름다운 ‘생각’도 치우치고 잘못 행사하면 어려움을 부른다. 오래 지켜 가기가 쉽지 않은 까닭이다. 인류를 유지하는 데 생각이 큰 몫을 한다. 오늘날 지구가 앓는 것은 사람의 생각 가운데 욕심·욕망이 성하여 자신과 자연을 망치게 된 본보기인 셈이다.

‘생각’의 미덕은 삼가는 것으로 나타나고, 이는 말이 아닌 실천으로 이어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2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7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651
1764 닥달하다, 원활 바람의종 2009.04.30 8657
1763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658
1762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662
1761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666
1760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667
1759 지프와 바바리 바람의종 2008.04.19 8667
1758 무색케, 도입케 / 무색게, 도입게 바람의종 2012.07.03 8669
1757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675
1756 움과 싹 바람의종 2008.01.03 8676
1755 용트림, 용틀임 바람의종 2008.10.04 8676
1754 주책없다 바람의종 2007.05.22 8678
1753 광대수염 바람의종 2008.02.13 8683
1752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83
1751 귀감 바람의종 2007.06.06 8684
1750 앙사리 바람의종 2010.01.09 8687
1749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687
1748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689
1747 사동사 바람의종 2010.01.28 8692
1746 호꼼마씸? file 바람의종 2010.03.07 8695
1745 재미 바람의종 2010.05.30 8697
1744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698
1743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7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