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5 05:01

생각 뒤

조회 수 832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생각 뒤

언어예절

움직임은 생각 끝에 나올 수도, 생각 없이 할 수도 있다. 말도 움직임의 한 가지로서, 생각 끝에 또는 생각 없이 할 수도 있다. 물질·몸·목숨에서 본능이, 그다음에 생각이 온다면, 이는 좀더 나아간 경지임을 알 수 있다.

헤아림·욕심·판단·기억·상상·마음·의견·견해·사상·느낌·성의·배려 따위 여럿으로 갈래를 잡을 만큼 생각이란 말은 폭넓게 쓰인다.

특히 성의·배려로 일컫는 ‘생각’이 행동·예절과 잇닿는다. ‘눈치를 본다’면 소극적이지만, ‘헤아린다’는 데 이르면 이는 적극적인 표현이 된다. 남을 돕고 보살피는 일이 사람 행동의 끝인 셈이다. 한편, 생각은 있어도 행동에는 굼뜰 수 있다. 게으름도 미덕일 때가 있으나 때를 놓치기 쉽다.

사회·공산·자본 따위 여러 ‘주의·주장’들이 삶의 형편을 헤아려 나왔고, 제도·문물들도 그렇다.

아름다운 ‘생각’도 치우치고 잘못 행사하면 어려움을 부른다. 오래 지켜 가기가 쉽지 않은 까닭이다. 인류를 유지하는 데 생각이 큰 몫을 한다. 오늘날 지구가 앓는 것은 사람의 생각 가운데 욕심·욕망이 성하여 자신과 자연을 망치게 된 본보기인 셈이다.

‘생각’의 미덕은 삼가는 것으로 나타나고, 이는 말이 아닌 실천으로 이어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7407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391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8874
    read more
  4. 생물·화학무기

    Date2008.04.05 By바람의종 Views10486
    Read More
  5. 생략되는 주격조사

    Date2010.01.23 By바람의종 Views9599
    Read More
  6. 생때같다

    Date2010.03.09 By바람의종 Views12582
    Read More
  7. 생때, 생떼

    Date2010.04.10 By바람의종 Views9986
    Read More
  8. 생각보다, 효녀 노릇

    Date2022.09.02 By風文 Views1158
    Read More
  9. 생각두룩새

    Date2009.05.28 By바람의종 Views5728
    Read More
  10. 생각 뒤

    Date2009.08.05 By바람의종 Views8328
    Read More
  11. 샘골과 시암실

    Date2008.06.12 By바람의종 Views5918
    Read More
  12. 샌드위치

    Date2008.02.15 By바람의종 Views7664
    Read More
  13. 샌님

    Date2006.12.29 By風磬 Views10609
    Read More
  14. 색깔이름

    Date2008.01.29 By바람의종 Views21790
    Read More
  15. 색감

    Date2009.02.04 By바람의종 Views6379
    Read More
  16. 새해 인사

    Date2008.06.03 By바람의종 Views6553
    Read More
  17. 새이방우, 새미골

    Date2008.07.05 By바람의종 Views6679
    Read More
  18. 새의 꼬리

    Date2010.02.07 By바람의종 Views8434
    Read More
  19. 새말의 정착

    Date2007.12.16 By바람의종 Views7368
    Read More
  20.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Date2022.02.13 By風文 Views1228
    Read More
  21. 새말과 사전

    Date2007.10.31 By바람의종 Views6140
    Read More
  22. 새말 만들기

    Date2007.10.12 By바람의종 Views7779
    Read More
  23.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Date2022.06.18 By風文 Views1133
    Read More
  24. 새라새롭다

    Date2008.02.29 By바람의종 Views9401
    Read More
  25.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Date2010.04.02 By바람의종 Views1133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