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4 03:18

오디새

조회 수 891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디새

짐승이름

어느 날 솔로몬 왕이 사막을 여행했다. 날씨가 무더워 곧 쓰러질 듯. 그때 어디선가 오디새 한 무리가 날아와 햇빛을 가려 왕의 시름을 풀어주었다. “내 그대들에게 상을 주고 싶다.” “임금님의 금관을 갖고 싶습니다.” 왕은 청을 받아들였다. 이후 오디새들은 머리에 금관을 쓰게 되었다. 이 일을 알게 된 사람들은 금관을 뺏으려 앞을 다퉈 오디새를 잡고자 했다. 새들에게 금관은 이제 자랑도 아닐뿐더러 오히려 칼날이 되었다. 새들은 왕에게 갔다. “금관 때문에 우리가 죽게 생겼으니 떼어주십시오.” 왕은 금관을 떼어내고 황금빛 볏을 주었다. 그러나 오디새들은 예전의 화려한 모습을 아쉬워하며 물이 고인 곳이면 으레 머리를 숙이고 자기 모습을 비춰 본다고 한다.(이스라엘의 전설)

오디새는 달리 후투티라고 이른다. 뽕나무 열매, 오디가 익어갈 무렵 뽕나무에 앉아 해로운 벌레들을 잡아먹는 고마운 새라고 ‘오디새’라 불렀다. 머리 깃털이 인디언 추장 같다 하여 ‘추장새’라고도 하는 여름철새다. 오디의 사투리로 고둘개(대구·경산)와 고들개(경주·영양·봉화)가 있고, 오덜개 혹은 오들개(합천)라고 한다. 고둘개는 ‘곧’에 ‘-울개(을개)’가 붙은 말. 논고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곧-곳-곶’에서와 같이 열매가 고둥처럼 툭 튀어나와 그리 부르다가 소리가 떨어지면서 ‘고둘개>오들개-오디’로 바뀌었다. 새의 볏이 튀기는 튀었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4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0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901
1764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126
1763 진정서 바람의종 2009.07.16 6325
1762 삐리라 바람의종 2009.07.16 8064
1761 대범한 도둑 바람의종 2009.07.16 6059
1760 '밖에'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6 11057
1759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135
1758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58
1757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97
1756 노트·노트북 바람의종 2009.07.17 6268
1755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223
1754 오소리 바람의종 2009.07.18 7695
1753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49
1752 체신머리, 채신머리 바람의종 2009.07.18 14274
1751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698
1750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782
1749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823
1748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40
1747 내쳐, 내친 걸음에, 내친 김에 바람의종 2009.07.22 11146
1746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342
1745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24
1744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589
1743 당나귀 file 바람의종 2009.07.23 53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