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4 03:18

오디새

조회 수 891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디새

짐승이름

어느 날 솔로몬 왕이 사막을 여행했다. 날씨가 무더워 곧 쓰러질 듯. 그때 어디선가 오디새 한 무리가 날아와 햇빛을 가려 왕의 시름을 풀어주었다. “내 그대들에게 상을 주고 싶다.” “임금님의 금관을 갖고 싶습니다.” 왕은 청을 받아들였다. 이후 오디새들은 머리에 금관을 쓰게 되었다. 이 일을 알게 된 사람들은 금관을 뺏으려 앞을 다퉈 오디새를 잡고자 했다. 새들에게 금관은 이제 자랑도 아닐뿐더러 오히려 칼날이 되었다. 새들은 왕에게 갔다. “금관 때문에 우리가 죽게 생겼으니 떼어주십시오.” 왕은 금관을 떼어내고 황금빛 볏을 주었다. 그러나 오디새들은 예전의 화려한 모습을 아쉬워하며 물이 고인 곳이면 으레 머리를 숙이고 자기 모습을 비춰 본다고 한다.(이스라엘의 전설)

오디새는 달리 후투티라고 이른다. 뽕나무 열매, 오디가 익어갈 무렵 뽕나무에 앉아 해로운 벌레들을 잡아먹는 고마운 새라고 ‘오디새’라 불렀다. 머리 깃털이 인디언 추장 같다 하여 ‘추장새’라고도 하는 여름철새다. 오디의 사투리로 고둘개(대구·경산)와 고들개(경주·영양·봉화)가 있고, 오덜개 혹은 오들개(합천)라고 한다. 고둘개는 ‘곧’에 ‘-울개(을개)’가 붙은 말. 논고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곧-곳-곶’에서와 같이 열매가 고둥처럼 툭 튀어나와 그리 부르다가 소리가 떨어지면서 ‘고둘개>오들개-오디’로 바뀌었다. 새의 볏이 튀기는 튀었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6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1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030
708 마도로스 바람의종 2009.08.29 6155
707 쟈고미 바람의종 2009.08.27 6909
706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3
705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97
704 청설모 바람의종 2009.08.07 8755
703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636
702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54
701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58
700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54
» 오디새 바람의종 2009.08.04 8916
698 스킨십 바람의종 2009.08.04 7341
697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82
696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660
695 머슴날 바람의종 2009.08.02 7232
694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719
693 추리닝 바람의종 2009.08.01 6856
692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17
691 겁나 바람의종 2009.07.31 8627
690 바람의종 2009.07.31 7936
689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89
688 슬리퍼 바람의종 2009.07.29 6953
687 짠지 file 바람의종 2009.07.29 65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