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4 03:18

오디새

조회 수 890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디새

짐승이름

어느 날 솔로몬 왕이 사막을 여행했다. 날씨가 무더워 곧 쓰러질 듯. 그때 어디선가 오디새 한 무리가 날아와 햇빛을 가려 왕의 시름을 풀어주었다. “내 그대들에게 상을 주고 싶다.” “임금님의 금관을 갖고 싶습니다.” 왕은 청을 받아들였다. 이후 오디새들은 머리에 금관을 쓰게 되었다. 이 일을 알게 된 사람들은 금관을 뺏으려 앞을 다퉈 오디새를 잡고자 했다. 새들에게 금관은 이제 자랑도 아닐뿐더러 오히려 칼날이 되었다. 새들은 왕에게 갔다. “금관 때문에 우리가 죽게 생겼으니 떼어주십시오.” 왕은 금관을 떼어내고 황금빛 볏을 주었다. 그러나 오디새들은 예전의 화려한 모습을 아쉬워하며 물이 고인 곳이면 으레 머리를 숙이고 자기 모습을 비춰 본다고 한다.(이스라엘의 전설)

오디새는 달리 후투티라고 이른다. 뽕나무 열매, 오디가 익어갈 무렵 뽕나무에 앉아 해로운 벌레들을 잡아먹는 고마운 새라고 ‘오디새’라 불렀다. 머리 깃털이 인디언 추장 같다 하여 ‘추장새’라고도 하는 여름철새다. 오디의 사투리로 고둘개(대구·경산)와 고들개(경주·영양·봉화)가 있고, 오덜개 혹은 오들개(합천)라고 한다. 고둘개는 ‘곧’에 ‘-울개(을개)’가 붙은 말. 논고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곧-곳-곶’에서와 같이 열매가 고둥처럼 툭 튀어나와 그리 부르다가 소리가 떨어지면서 ‘고둘개>오들개-오디’로 바뀌었다. 새의 볏이 튀기는 튀었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1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7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643
1852 있냐? 없냐? 바람의종 2008.09.23 9027
1851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9023
1850 우리 민족, 우리나라 바람의종 2009.07.08 9023
1849 실버 바람의종 2010.05.05 9019
1848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011
1847 진정코 바람의종 2010.02.23 9010
1846 불은 라면 바람의종 2012.08.01 9010
1845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9008
1844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9004
1843 바람의종 2012.09.12 9003
1842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002
1841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9001
1840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03.02 9000
1839 우레 바람의종 2007.03.03 8999
1838 넥타 바람의종 2008.02.03 8999
1837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8997
1836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96
1835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8996
1834 오재미 바람의종 2008.02.18 8992
1833 ~노, ~나 바람의종 2010.09.05 8992
1832 눈발, 빗발, 화장발 바람의종 2012.09.27 8992
1831 설레이다, 설레다 바람의종 2009.07.06 89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