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1 02:38

발강이

조회 수 770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강이

사람이름

정조 8년(1784년), 살인사건이 일어나 주검의 상한 곳을 살펴보니 옆구리 아래 사타구니 위에 상처가 있었다. 피해자 어머니 유씨와 동생을 불러 물으니 ‘큰발강이’가 가슴을 발로 막고 ‘잔발강이’가 수없이 밟았다고 하였다. 두 번째 검시에서 상한 곳을 살펴보니 배는 땡땡해지고 창자가 불거져 나오고 사타구니 위에 피멍이 있었다.

‘발강’은 발간(빨간) 빛깔이나 물감이다. 발간빛을 띠는 것과 잉어 새끼를 ‘발강이’라 한다. 물고기의 새끼를 이르는 말에 여러 가지가 있다. 명태 새끼는 ‘노가리’. 충남 보령 지역에서 ‘간재미/갱개미’라 일컫는 가오릿과 생선은 가오리 새끼쯤 된다. 숭어 새끼는 어느 고장에선 밀치라 한다. 부산 자갈치시장에서 물으니 밀치는 숭어 비슷한 가숭어라 하고, 숭어 새끼는 ‘모치’라 한다. ‘모치’는 ‘모쟁이’의 고장말이며, ‘모치/모티’가 든 사람이름에 ‘골모티·돌모치/돌모티’도 있다. 경상도말 ‘모티’는 모퉁이를 이른다. 웅어 새끼 ‘모롱이’, 돌고래 새끼 ‘가사리’도 이름에 보인다.

발강의 센말은 ‘빨강’ 또는 ‘벌겅’이다. 이데올로기 시대를 지나면서 ‘빨갱이’란 말에는 아주 각별한 의미가 더해졌다. 적색에 잇닿은 말조차 꺼리게 하는 집단 트라우마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하필이면 물고기 새끼 이름을 사람이름에 썼을까? 귀엽기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일까?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6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1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079
1302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29
1301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62
1300 말빨, 화장빨, 글빨 바람의종 2010.03.07 10207
1299 진작에 바람의종 2010.03.07 7594
1298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75
1297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53
1296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바람의종 2010.03.08 13357
1295 동티 바람의종 2010.03.08 10591
1294 축적과 누적 바람의종 2010.03.08 8892
1293 날아왔다 / 날라왔다 바람의종 2010.03.08 10711
1292 홀씨 바람의종 2010.03.09 15286
1291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585
1290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686
1289 겨우내, 가으내 바람의종 2010.03.09 10259
1288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763
1287 은어와 속어 바람의종 2010.03.10 10857
1286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297
1285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536
1284 타산지석 바람의종 2010.03.10 10566
1283 이제나저제나 바람의종 2010.03.10 10421
1282 영어로 들어간 우리말 바람의종 2010.03.12 11159
1281 둥개다 바람의종 2010.03.12 118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