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1 02:38

발강이

조회 수 771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강이

사람이름

정조 8년(1784년), 살인사건이 일어나 주검의 상한 곳을 살펴보니 옆구리 아래 사타구니 위에 상처가 있었다. 피해자 어머니 유씨와 동생을 불러 물으니 ‘큰발강이’가 가슴을 발로 막고 ‘잔발강이’가 수없이 밟았다고 하였다. 두 번째 검시에서 상한 곳을 살펴보니 배는 땡땡해지고 창자가 불거져 나오고 사타구니 위에 피멍이 있었다.

‘발강’은 발간(빨간) 빛깔이나 물감이다. 발간빛을 띠는 것과 잉어 새끼를 ‘발강이’라 한다. 물고기의 새끼를 이르는 말에 여러 가지가 있다. 명태 새끼는 ‘노가리’. 충남 보령 지역에서 ‘간재미/갱개미’라 일컫는 가오릿과 생선은 가오리 새끼쯤 된다. 숭어 새끼는 어느 고장에선 밀치라 한다. 부산 자갈치시장에서 물으니 밀치는 숭어 비슷한 가숭어라 하고, 숭어 새끼는 ‘모치’라 한다. ‘모치’는 ‘모쟁이’의 고장말이며, ‘모치/모티’가 든 사람이름에 ‘골모티·돌모치/돌모티’도 있다. 경상도말 ‘모티’는 모퉁이를 이른다. 웅어 새끼 ‘모롱이’, 돌고래 새끼 ‘가사리’도 이름에 보인다.

발강의 센말은 ‘빨강’ 또는 ‘벌겅’이다. 이데올로기 시대를 지나면서 ‘빨갱이’란 말에는 아주 각별한 의미가 더해졌다. 적색에 잇닿은 말조차 꺼리게 하는 집단 트라우마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하필이면 물고기 새끼 이름을 사람이름에 썼을까? 귀엽기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일까?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7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2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152
1742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83
1741 주최, 주관, 후원 바람의종 2009.07.23 7859
1740 으시시, 부시시 바람의종 2009.07.23 7970
1739 더하고 빼기 바람의종 2009.07.24 7682
1738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61
1737 당신만, 해야만 / 3년 만, 이해할 만 바람의종 2009.07.24 7491
1736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42
1735 유월과 오뉴월 바람의종 2009.07.24 7188
1734 능소니 바람의종 2009.07.25 7882
1733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24
1732 겸연쩍다, 멋쩍다, 맥쩍다 바람의종 2009.07.25 14505
1731 너뿐이야, 네가 있을 뿐 바람의종 2009.07.25 7909
1730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636
1729 살망졍이 바람의종 2009.07.26 6551
1728 아파트이름 바람의종 2009.07.26 8287
1727 봉우리, 봉오리 바람의종 2009.07.26 10781
1726 설겆이, 설거지 / 애닯다, 애달프다 바람의종 2009.07.26 10223
1725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998
1724 꺼벙이 바람의종 2009.07.27 7167
1723 '간(間)'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27 12068
1722 단근질, 담금질 바람의종 2009.07.27 11447
1721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8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