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1 02:38

발강이

조회 수 771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강이

사람이름

정조 8년(1784년), 살인사건이 일어나 주검의 상한 곳을 살펴보니 옆구리 아래 사타구니 위에 상처가 있었다. 피해자 어머니 유씨와 동생을 불러 물으니 ‘큰발강이’가 가슴을 발로 막고 ‘잔발강이’가 수없이 밟았다고 하였다. 두 번째 검시에서 상한 곳을 살펴보니 배는 땡땡해지고 창자가 불거져 나오고 사타구니 위에 피멍이 있었다.

‘발강’은 발간(빨간) 빛깔이나 물감이다. 발간빛을 띠는 것과 잉어 새끼를 ‘발강이’라 한다. 물고기의 새끼를 이르는 말에 여러 가지가 있다. 명태 새끼는 ‘노가리’. 충남 보령 지역에서 ‘간재미/갱개미’라 일컫는 가오릿과 생선은 가오리 새끼쯤 된다. 숭어 새끼는 어느 고장에선 밀치라 한다. 부산 자갈치시장에서 물으니 밀치는 숭어 비슷한 가숭어라 하고, 숭어 새끼는 ‘모치’라 한다. ‘모치’는 ‘모쟁이’의 고장말이며, ‘모치/모티’가 든 사람이름에 ‘골모티·돌모치/돌모티’도 있다. 경상도말 ‘모티’는 모퉁이를 이른다. 웅어 새끼 ‘모롱이’, 돌고래 새끼 ‘가사리’도 이름에 보인다.

발강의 센말은 ‘빨강’ 또는 ‘벌겅’이다. 이데올로기 시대를 지나면서 ‘빨갱이’란 말에는 아주 각별한 의미가 더해졌다. 적색에 잇닿은 말조차 꺼리게 하는 집단 트라우마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하필이면 물고기 새끼 이름을 사람이름에 썼을까? 귀엽기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일까?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6266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278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7772
    read more
  4. 바통

    Date2009.10.02 By바람의종 Views8937
    Read More
  5. 바투

    Date2010.11.10 By바람의종 Views14156
    Read More
  6. 박물관은 살아있다

    Date2012.11.30 By바람의종 Views18553
    Read More
  7. 박물관은 살아있다 2

    Date2012.12.10 By바람의종 Views23895
    Read More
  8. 박빙, 살얼음

    Date2010.01.11 By바람의종 Views10948
    Read More
  9. 박사

    Date2007.07.07 By바람의종 Views7911
    Read More
  10. 박살내다

    Date2007.05.09 By바람의종 Views10278
    Read More
  11. 박스오피스

    Date2010.02.08 By바람의종 Views8572
    Read More
  12. 박쥐

    Date2009.10.28 By바람의종 Views9797
    Read More
  13. 박차를 가하다

    Date2008.01.10 By바람의종 Views13024
    Read More
  14. 반동과 리액션

    Date2023.11.25 By風文 Views1404
    Read More
  15. 반딧불이

    Date2008.09.07 By바람의종 Views5696
    Read More
  16. 반어법

    Date2010.02.23 By바람의종 Views9046
    Read More
  17. 반죽이 좋다

    Date2010.11.03 By바람의종 Views12067
    Read More
  18. 반죽이 좋다

    Date2008.01.10 By바람의종 Views9264
    Read More
  19. 반증, 방증

    Date2008.09.30 By바람의종 Views10025
    Read More
  20. 반지락, 아나고

    Date2008.09.04 By바람의종 Views8199
    Read More
  21. 반풍수 집안 망친다

    Date2008.01.11 By바람의종 Views11119
    Read More
  22. 받아쓰기 없기

    Date2022.02.10 By風文 Views2423
    Read More
  23. 받치다, 받히다

    Date2011.12.28 By바람의종 Views10338
    Read More
  24.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Date2012.07.04 By바람의종 Views16866
    Read More
  25. 발강이

    Date2009.08.01 By바람의종 Views771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