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31 00:08

겁나

조회 수 861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겁나

고장말

‘겁나 싸가지가 없드만!’ ‘겁나’는 표준어 ‘굉장히’와 대응하는, 주로 전라도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겁나’는 ‘아주 많다’는 뜻의 형용사 ‘겁나다’의 어근이 형태 변화 없이 부사로 쓰인 것이다. “여자는 하늘같이 훌륭한 것 같고 남자는 겁나 못난 것 같고 그라도만.”(<한국구비문학대계> 전남편) ‘겁나다’는 명사 ‘겁’(怯)과 ‘-나다’가 결합된 동사 ‘겁나다’에서 유래한 형용사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겁나다’는 ‘무섭거나 두려운 마음이 생길’ 만큼 많다는 말이다.

뭇사람들이 갑자기 엄청난 돈을 갖게 되면 좋다는 생각보다는 두려움이 앞서는 것과 마찬가지로 고장말 ‘겁나다’는 사물에 대한 인간의 의식 세계를 고스란히 담아내는 말이다. 이런 사실은 ‘겁나’나 ‘겁나게’가 ‘많다’와 함께 쓰일 때 분명하게 드러난다. “학생 갸들도 매년 봄이 되면 핵교서 선거를 허는 모양인디 그 선거에 드는 돈이 겁나게 많답디다.”(<남도 기행> 홍성원)

‘겁나게’는 ‘겁나다’에 어미 ‘-게’가 결합되어 부사로 굳어진 고장말인데, ‘겁나’와 같은 의미다. “보육원 갸들, 영락없는 말벌떼맨치로 겁나게 무서운 패거리였잖어?”(<소라단 가는 길> 윤흥길)

‘겁나’와 대응하는 또다른 형태는 ‘겁찰게’인데, 주로 전남 동부에서 쓴다. “하늘 아래가 지와집이 겁찰게 지어져갖고 있드랍니다.”(<한국구비문학대계> 전남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4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19
1742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2.09.19 8683
1741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687
1740 앙사리 바람의종 2010.01.09 8687
1739 사동사 바람의종 2010.01.28 8688
1738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697
1737 기별 바람의종 2007.06.07 8698
1736 맨발, 맨 밑바닥 바람의종 2009.07.28 8698
1735 대단원의 막을 내리다. 바람의종 2009.02.18 8703
1734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707
1733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708
1732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709
1731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712
1730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715
1729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716
1728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718
1727 무데뽀 바람의종 2008.02.12 8718
1726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720
1725 까치설날 바람의종 2010.09.05 8736
1724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39
1723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740
1722 됐거든 바람의종 2009.12.01 8740
1721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7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