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31 00:06

조회 수 793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벌이고 치르고, 생기고 만들고, 있고 없고, 되고 안 되고 … 하는 말들과 두루 어울린다. 일이 담고 있는 뜻갈래가 열이 넘지만, 실제 우리 사회에서 일(직업)의 가짓수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그런데도 일자리가 귀한 시절이다.

나랏일·집안일·회사일, 큰일·작은일, 궂은일·좋은일, 날일·삯일, 흙일·논일·들일·물일·막일 … 들을 보면, 그 앞에 놓인 말에 따라 일의 성질이나 규모, 품질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일에서 비롯된 이런 일컬음(지칭)은 시대에 따라 사라지고 새로 생기기를 거듭한다. 식모나 애보개 대신 파출부·아줌마·베이비시터란 말이 쓰이더니 요즘은 아기돌보미·가사도우미가 널리 쓰인다. 공장일 중에서 힘들고 위험한 기피 업종은 외국인 노동자가 대신 하며, 그나마 품삯이나 땅값이 싼 나라로 공장이 옮아간다. 공돌이·공순이 같은 얕잡는 말을 쓰지 않은 지도 오래다.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뒷가지로 ‘쟁이·장이·꾼’을 쓴다. 대체로 그 사람을 홀하게 일컫는 구실을 한다. 날일꾼·삯꾼·장사꾼·씨름꾼 …, 옹기장이·미장이, 글쟁이·풍물쟁이·양복쟁이 …. 다행인 건 ‘꾼’ ‘쟁이’ 홀로 그 방면의 ‘전문가’를 일컫는 말로 쓰이는 조짐이다.

사람한테 일이란 힘이요 보람이다. 말을 바꾼다고 일거리나 일터를 가리기는 어렵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990
1742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2.09.19 8694
1741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697
1740 두만강과 여진어 바람의종 2008.02.14 8698
1739 기별 바람의종 2007.06.07 8701
1738 게르만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05 8706
1737 맨발, 맨 밑바닥 바람의종 2009.07.28 8707
1736 대단원의 막을 내리다. 바람의종 2009.02.18 8713
1735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714
1734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716
1733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717
1732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718
1731 무데뽀 바람의종 2008.02.12 8718
1730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719
1729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721
1728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728
1727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732
1726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736
1725 까치설날 바람의종 2010.09.05 8739
1724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39
1723 됐거든 바람의종 2009.12.01 8740
1722 청설모 바람의종 2009.08.07 8751
1721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7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