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31 00:06

조회 수 793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벌이고 치르고, 생기고 만들고, 있고 없고, 되고 안 되고 … 하는 말들과 두루 어울린다. 일이 담고 있는 뜻갈래가 열이 넘지만, 실제 우리 사회에서 일(직업)의 가짓수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그런데도 일자리가 귀한 시절이다.

나랏일·집안일·회사일, 큰일·작은일, 궂은일·좋은일, 날일·삯일, 흙일·논일·들일·물일·막일 … 들을 보면, 그 앞에 놓인 말에 따라 일의 성질이나 규모, 품질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일에서 비롯된 이런 일컬음(지칭)은 시대에 따라 사라지고 새로 생기기를 거듭한다. 식모나 애보개 대신 파출부·아줌마·베이비시터란 말이 쓰이더니 요즘은 아기돌보미·가사도우미가 널리 쓰인다. 공장일 중에서 힘들고 위험한 기피 업종은 외국인 노동자가 대신 하며, 그나마 품삯이나 땅값이 싼 나라로 공장이 옮아간다. 공돌이·공순이 같은 얕잡는 말을 쓰지 않은 지도 오래다.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뒷가지로 ‘쟁이·장이·꾼’을 쓴다. 대체로 그 사람을 홀하게 일컫는 구실을 한다. 날일꾼·삯꾼·장사꾼·씨름꾼 …, 옹기장이·미장이, 글쟁이·풍물쟁이·양복쟁이 …. 다행인 건 ‘꾼’ ‘쟁이’ 홀로 그 방면의 ‘전문가’를 일컫는 말로 쓰이는 조짐이다.

사람한테 일이란 힘이요 보람이다. 말을 바꾼다고 일거리나 일터를 가리기는 어렵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7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2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143
708 마도로스 바람의종 2009.08.29 6155
707 쟈고미 바람의종 2009.08.27 6909
706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3
705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97
704 청설모 바람의종 2009.08.07 8755
703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636
702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54
701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58
700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54
699 오디새 바람의종 2009.08.04 8916
698 스킨십 바람의종 2009.08.04 7341
697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82
696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661
695 머슴날 바람의종 2009.08.02 7232
694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719
693 추리닝 바람의종 2009.08.01 6856
692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17
691 겁나 바람의종 2009.07.31 8627
» 바람의종 2009.07.31 7937
689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89
688 슬리퍼 바람의종 2009.07.29 6953
687 짠지 file 바람의종 2009.07.29 65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