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28 00:32

신청·청구

조회 수 842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신청·청구

언어예절

말도 본디 귀천과 높낮이가 없다. 사람이 말을 구분하고 차별하여 다루다 보니 달리 보이고 그렇게 쓰일 뿐이다. 대감과 상감을 두고 글자 뜻으로는 어느 쪽이 높은지를 따지기 어렵지만 임금을 상감이라고 하니 높아 보일 뿐인 것도 그렇다. 반대말들도 서로 맞서는 사물 따라 붙인 이름일 뿐이다.

법률 언어, 행정 언어를 규제하는 틀이 법률이다. 어떤 분야든 법률에서 용어나 이름, 지칭들이 정해지면 실천하고 행사하는 쪽에서는 이를 따르기 마련이다. 행정문서에서 쓰는 서식이나 용어들이 거의 그렇다. 일반에서도 외래어 쓰기가 늘어나지만, 법령이 이에 앞장서기도 한다. 새로 법령을 만들 때 한번 외래어를 쓰게 되면 다른 말로 고치기가 쉽지 않다. 지하철역에 가면 철로와 승강장 사이를 가로막는 시설이 있다. 이를 ‘스크린도어’라고 법령에 박아 놓아 ‘안전문’이라고 해도 될 걸 잘 고쳐 쓰지 못한다.

기관 따라 구분해 쓰는 말에 신청·청구가 있다. 형사소송법에서, 범죄 혐의자를 붙잡거나 구속하고자 할 때 “사법경찰관은 검사에게 신청하여 검사의 청구로” 관할 지방법원 판사한테 체포영장이나 구속영장을 떼어받도록 했다.

말뜻으로는 신청이나 청구나 구분이 안 되지만 특정 계층에서 쓰이는 계급이 다른 셈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52
1720 들쳐업다 바람의종 2009.07.28 9659
1719 굳은 살이 - 박혔다, 박였다, 배겼다 바람의종 2009.07.28 8870
1718 나수 좀 드소! file 바람의종 2009.07.28 6029
» 신청·청구 바람의종 2009.07.28 8427
1716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776
1715 단근질, 담금질 바람의종 2009.07.27 11423
1714 '간(間)'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27 12000
1713 꺼벙이 바람의종 2009.07.27 7163
1712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952
1711 설겆이, 설거지 / 애닯다, 애달프다 바람의종 2009.07.26 10200
1710 봉우리, 봉오리 바람의종 2009.07.26 10773
1709 아파트이름 바람의종 2009.07.26 8268
1708 살망졍이 바람의종 2009.07.26 6537
1707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463
1706 너뿐이야, 네가 있을 뿐 바람의종 2009.07.25 7894
1705 겸연쩍다, 멋쩍다, 맥쩍다 바람의종 2009.07.25 14444
1704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18
1703 능소니 바람의종 2009.07.25 7861
1702 유월과 오뉴월 바람의종 2009.07.24 7171
1701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29
1700 당신만, 해야만 / 3년 만, 이해할 만 바람의종 2009.07.24 7476
1699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