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28 00:32

신청·청구

조회 수 8419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신청·청구

언어예절

말도 본디 귀천과 높낮이가 없다. 사람이 말을 구분하고 차별하여 다루다 보니 달리 보이고 그렇게 쓰일 뿐이다. 대감과 상감을 두고 글자 뜻으로는 어느 쪽이 높은지를 따지기 어렵지만 임금을 상감이라고 하니 높아 보일 뿐인 것도 그렇다. 반대말들도 서로 맞서는 사물 따라 붙인 이름일 뿐이다.

법률 언어, 행정 언어를 규제하는 틀이 법률이다. 어떤 분야든 법률에서 용어나 이름, 지칭들이 정해지면 실천하고 행사하는 쪽에서는 이를 따르기 마련이다. 행정문서에서 쓰는 서식이나 용어들이 거의 그렇다. 일반에서도 외래어 쓰기가 늘어나지만, 법령이 이에 앞장서기도 한다. 새로 법령을 만들 때 한번 외래어를 쓰게 되면 다른 말로 고치기가 쉽지 않다. 지하철역에 가면 철로와 승강장 사이를 가로막는 시설이 있다. 이를 ‘스크린도어’라고 법령에 박아 놓아 ‘안전문’이라고 해도 될 걸 잘 고쳐 쓰지 못한다.

기관 따라 구분해 쓰는 말에 신청·청구가 있다. 형사소송법에서, 범죄 혐의자를 붙잡거나 구속하고자 할 때 “사법경찰관은 검사에게 신청하여 검사의 청구로” 관할 지방법원 판사한테 체포영장이나 구속영장을 떼어받도록 했다.

말뜻으로는 신청이나 청구나 구분이 안 되지만 특정 계층에서 쓰이는 계급이 다른 셈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77
1742 무색케, 도입케 / 무색게, 도입게 바람의종 2012.07.03 8622
1741 나차운 디! file 바람의종 2010.05.30 8629
1740 닥달하다, 원활 바람의종 2009.04.30 8629
1739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630
1738 일본식 용어 - ㅈ 바람의종 2008.03.13 8631
1737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631
1736 용트림, 용틀임 바람의종 2008.10.04 8635
1735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36
1734 예천과 물맛 바람의종 2008.01.14 8638
1733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07.03.29 8638
1732 기별 바람의종 2007.06.07 8638
1731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643
1730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644
1729 재미 바람의종 2010.05.30 8646
1728 지프와 바바리 바람의종 2008.04.19 8649
1727 폭염 바람의종 2012.07.05 8651
1726 마니산과 머리 바람의종 2008.01.28 8659
1725 사동사 바람의종 2010.01.28 8664
1724 앙사리 바람의종 2010.01.09 8668
1723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670
1722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670
1721 ‘-째’와 ‘채’ 바람의종 2010.01.26 86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