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25 00:59

마름질

조회 수 832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름질

언어예절

문무(文武)를 보통 붓과 칼로 견준다. 실제로는 붓과 칼이 같이 놀 때가 많다. 말글을 부려 쓴다는 일이 칼질·난도질·가위질 그 자체인 때가 많은 까닭이다. 이름을 짓고 사물을 정의하고 판단하는 일이 칼질이자 마름질이며, 살을 쏘는 일과 닮았다.

어떤 사안을 두고 재단한다거나 마름질한다고 하면 옳고 그름을 헤아리고 이를 바탕으로 판단하는 걸 이른다. 재고 자르고 깁고 하는 바느질꾼·재단사의 일을 빗댈 수 있다. 찧고 까불고 이러쿵저러쿵하는 일들도 마찬가지다. 말에 가시(뼈)가 들었다, 화살을 날린다, 날이 섰다, 말이 날카롭다고 하는 비유들에서도 붓과 칼이 같이 놂을 볼 수 있다.

남의 얘기를 듣지 않거나 두루 살피지 않고 속내를 모르는 처지에서 올바른 진단·판단을 하기 어렵다. 하물며 부드럽고 화합하는 말을 어떻게 바라랴.

마름질에도 틀(본)이 있어야 하고, 잘라낸 베를 대어 깁는 일도 중요하다. 특히 이치를 세우고 엮는 논문·재판·해석 들에서 쓸모 있는 방식이지만, 일상 대화에서 각별히 따져서 확인할 때를 빼고서는 함부로 마름질하기를 삼갈 필요가 있다. 판단이 그릇될 수 있는데다, 자칫 오해나 감정을 사기 쉬운 까닭이다. 바라지도 않는 자리에서 배 놔라 감 놔라 하는 식의 간섭이나 훈수가 되기 십상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19
2248 생때, 생떼 바람의종 2010.04.10 10000
2247 접두사 ‘새-’와 ‘샛-’ 바람의종 2010.04.10 12430
2246 노가리 바람의종 2010.04.10 13698
2245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35
2244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40
2243 영어 남발 바람의종 2010.04.07 10075
2242 살찌다, 살지다 바람의종 2010.04.07 9982
2241 옴니암니 바람의종 2010.04.06 12517
2240 벌이다와 벌리다 바람의종 2010.04.06 13504
2239 골덴 바람의종 2010.04.06 11791
2238 늘그막, 늙으막 / 늑수그레하다, 늙수그레하다 바람의종 2010.04.02 23676
2237 유혈목이, 새홀리기 바람의종 2010.04.02 10805
2236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바람의종 2010.04.02 11349
2235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506
2234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6044
2233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44
2232 놀잇감, 장난감 바람의종 2010.04.01 5943
2231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07
2230 아니요와 아니오 바람의종 2010.04.01 11360
2229 주마등 바람의종 2010.04.01 12387
2228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44
2227 녹녹지 않다 바람의종 2010.03.30 121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