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25 00:59

마름질

조회 수 832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름질

언어예절

문무(文武)를 보통 붓과 칼로 견준다. 실제로는 붓과 칼이 같이 놀 때가 많다. 말글을 부려 쓴다는 일이 칼질·난도질·가위질 그 자체인 때가 많은 까닭이다. 이름을 짓고 사물을 정의하고 판단하는 일이 칼질이자 마름질이며, 살을 쏘는 일과 닮았다.

어떤 사안을 두고 재단한다거나 마름질한다고 하면 옳고 그름을 헤아리고 이를 바탕으로 판단하는 걸 이른다. 재고 자르고 깁고 하는 바느질꾼·재단사의 일을 빗댈 수 있다. 찧고 까불고 이러쿵저러쿵하는 일들도 마찬가지다. 말에 가시(뼈)가 들었다, 화살을 날린다, 날이 섰다, 말이 날카롭다고 하는 비유들에서도 붓과 칼이 같이 놂을 볼 수 있다.

남의 얘기를 듣지 않거나 두루 살피지 않고 속내를 모르는 처지에서 올바른 진단·판단을 하기 어렵다. 하물며 부드럽고 화합하는 말을 어떻게 바라랴.

마름질에도 틀(본)이 있어야 하고, 잘라낸 베를 대어 깁는 일도 중요하다. 특히 이치를 세우고 엮는 논문·재판·해석 들에서 쓸모 있는 방식이지만, 일상 대화에서 각별히 따져서 확인할 때를 빼고서는 함부로 마름질하기를 삼갈 필요가 있다. 판단이 그릇될 수 있는데다, 자칫 오해나 감정을 사기 쉬운 까닭이다. 바라지도 않는 자리에서 배 놔라 감 놔라 하는 식의 간섭이나 훈수가 되기 십상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64
686 나수 좀 드소! file 바람의종 2009.07.28 6029
685 신청·청구 바람의종 2009.07.28 8427
684 꺼벙이 바람의종 2009.07.27 7165
683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953
682 살망졍이 바람의종 2009.07.26 6537
»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24
680 능소니 바람의종 2009.07.25 7861
679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49
678 더하고 빼기 바람의종 2009.07.24 7665
677 당나귀 file 바람의종 2009.07.23 5331
676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534
675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91
674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774
673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30
672 오소리 바람의종 2009.07.18 7685
671 노트·노트북 바람의종 2009.07.17 6262
670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89
669 삐리라 바람의종 2009.07.16 8035
668 진정서 바람의종 2009.07.16 6310
667 살쾡이 file 바람의종 2009.07.15 6110
666 스펙 바람의종 2009.07.15 5481
665 사랑금이 file 바람의종 2009.07.14 54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