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25 00:58

능소니

조회 수 786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능소니

짐승이름

“옛날 한 사내가 연미산에 나무하러 갔다 길을 잃었다. 배가 고파 바위 굴 속에 쉬던 중 한 처녀를 만나 부부의 연을 맺게 되었다. 하지만 여인의 정체가 곰임을 안 사내는 놀라 도망가려 했으나 헛일. 이제 아이 둘을 낳았으니 도망가지 않으리라 안심한 암곰이 굴을 나간 사이 사내는 강을 헤엄쳐 도망을 갔다. 암곰은 새끼 곰을 안고 금강에 빠져 죽고 만다. 그 뒤 강을 건너는 나룻배가 풍랑에 뒤집히는 일이 많아 사람들이 나루 옆에 사당을 짓고 곰의 넋을 위로했다.”(고마나루 전설)

이 전설과 관련하여 고마나루로 부르다 한자화되는 과정에서 미화해 비단 금(錦)자를 써서 금강이 되었다. 더러는 비단가람이라 일컫기도 한다. 곰 새끼를 능소니라 한다. 능(能)은 한자로 곰을 가리킨다. 자라를 이를 때는 ‘내’, 별을 이를 때는 ‘태’로 읽는다. 팔공산에 가면 능성재가 있다. 본디의 우리말로는 곰재(熊峴)다. 곰 웅(熊)의 바탕이 능(能)이다. 능력이 있어야 산다고 할 때, 능력의 상징적인 뿌리는 곰에서 말미암는다. 둔해 보이지만 재주를 잘 부린다. 사람처럼 일어섬은 물론, 나무에 잘 기어오르며 헤엄도 잘 친다. 재주꾼을 ‘능꾼’이라 함도 곰에서 멀지 않다. 딴청을 부리며 다른 사람을 속일 때 우리는 ‘능청’ 부린다고 한다. 그 밑바탕에 깔린 의미는 능소니가 재주를 잘 부린다는 데서 뿌리를 내리고 있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16
1368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40
1367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37
1366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933
1365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32
1364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7930
1363 바람의종 2009.07.31 7928
1362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27
1361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926
1360 어미 ‘-네’와 ‘-군’ 바람의종 2010.11.01 7925
1359 비만인 사람, 비만이다 바람의종 2009.09.29 7924
1358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19
1357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15
1356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15
1355 우레, 우뢰 바람의종 2009.08.02 7914
1354 메가폰과 마이크 바람의종 2010.01.10 7910
1353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07
1352 괘씸죄 바람의종 2008.03.31 7907
1351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906
1350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05
1349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7903
1348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903
1347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79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