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25 00:58

능소니

조회 수 7869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능소니

짐승이름

“옛날 한 사내가 연미산에 나무하러 갔다 길을 잃었다. 배가 고파 바위 굴 속에 쉬던 중 한 처녀를 만나 부부의 연을 맺게 되었다. 하지만 여인의 정체가 곰임을 안 사내는 놀라 도망가려 했으나 헛일. 이제 아이 둘을 낳았으니 도망가지 않으리라 안심한 암곰이 굴을 나간 사이 사내는 강을 헤엄쳐 도망을 갔다. 암곰은 새끼 곰을 안고 금강에 빠져 죽고 만다. 그 뒤 강을 건너는 나룻배가 풍랑에 뒤집히는 일이 많아 사람들이 나루 옆에 사당을 짓고 곰의 넋을 위로했다.”(고마나루 전설)

이 전설과 관련하여 고마나루로 부르다 한자화되는 과정에서 미화해 비단 금(錦)자를 써서 금강이 되었다. 더러는 비단가람이라 일컫기도 한다. 곰 새끼를 능소니라 한다. 능(能)은 한자로 곰을 가리킨다. 자라를 이를 때는 ‘내’, 별을 이를 때는 ‘태’로 읽는다. 팔공산에 가면 능성재가 있다. 본디의 우리말로는 곰재(熊峴)다. 곰 웅(熊)의 바탕이 능(能)이다. 능력이 있어야 산다고 할 때, 능력의 상징적인 뿌리는 곰에서 말미암는다. 둔해 보이지만 재주를 잘 부린다. 사람처럼 일어섬은 물론, 나무에 잘 기어오르며 헤엄도 잘 친다. 재주꾼을 ‘능꾼’이라 함도 곰에서 멀지 않다. 딴청을 부리며 다른 사람을 속일 때 우리는 ‘능청’ 부린다고 한다. 그 밑바탕에 깔린 의미는 능소니가 재주를 잘 부린다는 데서 뿌리를 내리고 있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27
1720 빚쟁이 바람의종 2010.05.08 10039
1719 빛깔 이름/ 염지 風文 2020.05.18 1775
1718 빛깔말 바람의종 2008.02.28 7170
1717 빨강색, 빨간색, 빨강 바람의종 2008.11.27 8925
1716 빨치산 바람의종 2008.02.14 7723
1715 빵, 카스텔라 바람의종 2008.11.18 6212
1714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697
1713 빼다 박다, 빼쏘다, 빼박다 바람의종 2010.03.06 12015
1712 빼도 박도 못한다 바람의종 2008.02.24 11664
1711 빼았기다 / 빼앗기다 바람의종 2011.11.15 11981
1710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29
1709 뽀개기 바람의종 2010.05.09 8463
1708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10
1707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41
1706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31
1705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335
1704 뿐만 아니라, 때문에 바람의종 2009.10.27 10469
1703 삐까삐까 바람의종 2008.02.14 9442
1702 삐라 바람의종 2008.02.15 5319
1701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09
1700 삐리라 바람의종 2009.07.16 8039
1699 삐지다, 삐치다 바람의종 2008.12.28 120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