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22 18:10

가개·까까이

조회 수 82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개·까까이


사람이름

태종 4년(1404년), 지영월군사 허조가 효자·열녀 집의 부역을 없애 달라고 청했다. “고을에 ‘김노개·김가개’ 형제와 ‘석노’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모두 아비 죽고 삼년상 기한이 이미 지났는데, 일로 관가에 왔기로 상복이 다 해지고 얼굴에 근심이 가득하여 물으니, 부모상은 대사이니 대사를 치른 지 한참 지난 뒤에는 상복을 다시 입을 수 없으므로 벗지 않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훈몽자회>를 보면 ‘가개’는 시렁이나 선반(棚)뿐만 아니라 차양(凉棚)도 이른다. 달리 허름하게 얽어 지은 집도 ‘가개’라 하였다. <의궤>를 보면 행사를 위해 임시가옥인 ‘가가’(假家)를 짓는다. ‘가겟방·가겟집’의 ‘가게’를 한자말 ‘가가’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 이미 집의 뜻으로 ‘가개’가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가가’는 ‘가개’의 이두 표기일 뿐인 듯하다. 선반이 많아 붙여졌을 ‘가겟방·가겟집’은 나중에 ‘가게’로만 부르게 된 것 아닐까? 프랑스 말 ‘비블리오테크’는 ‘선반’과 ‘도서관’의 뜻을 동시에 갖고 있다.

‘가개’는 야인 지역까지 쓰이던 이름이다. 1599년 2월, 누르하치는 글자에 대한 아이디어를 ‘에르더니 교수’와 ‘까까이 판관’에 일러 몽골 글자를 고쳐 만주말을 적을 수 있게 했다. ‘까까이’(G’ag’ai)는 ‘가개’(가가이)의 뒷시대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4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892
3216 으레, 으례, 의례 바람의종 2012.08.23 14986
3215 홍일점 바람의종 2010.10.06 14970
3214 직성이 풀리다 바람의종 2008.01.30 14946
3213 애저녁에 / 애초에 바람의종 2012.08.16 14937
3212 획정, 확정 바람의종 2008.12.10 14934
3211 국어의 품사 1 바람의종 2009.12.14 14932
3210 아니꼽다 風磬 2007.01.19 14898
3209 쟁이, 장이 바람의종 2010.07.09 14809
3208 오랫만, 오랜만 바람의종 2008.11.20 14793
3207 패이다 바람의종 2008.12.11 14770
3206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765
3205 해설피 바람의종 2010.05.31 14764
3204 훈방, 석방 바람의종 2010.07.23 14750
3203 단도리, 잡도리, 당조짐 바람의종 2010.08.05 14734
3202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714
3201 호래자식(후레자식) 바람의종 2007.04.27 14682
3200 빈털털이, 빈털터리 바람의종 2010.05.07 14673
3199 상피 붙다 바람의종 2007.05.12 14650
3198 내일 뵈요, 내일 봬요 바람의종 2012.09.14 14634
3197 쌩얼, 민낯, 맨얼굴, 민얼굴 바람의종 2011.12.05 14628
3196 결제와 결재 바람의종 2010.03.26 14623
3195 번번이 / 번번히 바람의종 2012.05.07 146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