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22 18:10

가개·까까이

조회 수 83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개·까까이


사람이름

태종 4년(1404년), 지영월군사 허조가 효자·열녀 집의 부역을 없애 달라고 청했다. “고을에 ‘김노개·김가개’ 형제와 ‘석노’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모두 아비 죽고 삼년상 기한이 이미 지났는데, 일로 관가에 왔기로 상복이 다 해지고 얼굴에 근심이 가득하여 물으니, 부모상은 대사이니 대사를 치른 지 한참 지난 뒤에는 상복을 다시 입을 수 없으므로 벗지 않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훈몽자회>를 보면 ‘가개’는 시렁이나 선반(棚)뿐만 아니라 차양(凉棚)도 이른다. 달리 허름하게 얽어 지은 집도 ‘가개’라 하였다. <의궤>를 보면 행사를 위해 임시가옥인 ‘가가’(假家)를 짓는다. ‘가겟방·가겟집’의 ‘가게’를 한자말 ‘가가’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 이미 집의 뜻으로 ‘가개’가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가가’는 ‘가개’의 이두 표기일 뿐인 듯하다. 선반이 많아 붙여졌을 ‘가겟방·가겟집’은 나중에 ‘가게’로만 부르게 된 것 아닐까? 프랑스 말 ‘비블리오테크’는 ‘선반’과 ‘도서관’의 뜻을 동시에 갖고 있다.

‘가개’는 야인 지역까지 쓰이던 이름이다. 1599년 2월, 누르하치는 글자에 대한 아이디어를 ‘에르더니 교수’와 ‘까까이 판관’에 일러 몽골 글자를 고쳐 만주말을 적을 수 있게 했다. ‘까까이’(G’ag’ai)는 ‘가개’(가가이)의 뒷시대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8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5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274
686 나수 좀 드소! file 바람의종 2009.07.28 6063
685 신청·청구 바람의종 2009.07.28 8465
684 꺼벙이 바람의종 2009.07.27 7167
683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8070
682 살망졍이 바람의종 2009.07.26 6552
681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24
680 능소니 바람의종 2009.07.25 7893
679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61
678 더하고 빼기 바람의종 2009.07.24 7685
677 당나귀 file 바람의종 2009.07.23 5334
676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642
»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70
674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855
673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54
672 오소리 바람의종 2009.07.18 7695
671 노트·노트북 바람의종 2009.07.17 6268
670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97
669 삐리라 바람의종 2009.07.16 8067
668 진정서 바람의종 2009.07.16 6330
667 살쾡이 file 바람의종 2009.07.15 6123
666 스펙 바람의종 2009.07.15 5485
665 사랑금이 file 바람의종 2009.07.14 54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