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16 07:50

진정서

조회 수 632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진정서

언어예절

기록을 남긴다는 점에서 문서, 곧 적발을 중히 여기는데, 기록 역시 생각과 말의 갈무리다. 관청에서는 일이 주로 적발로 오간다. 그림·글·말·사진들도 디지털로 갈무리하는 데 이르렀지만 그 방식이 얼마나 안전하고 오래갈지는 모른다.

살다 보면 부탁할 일이 잦아진다. 부탁이나 당부로 안 되면 통사정을 한다. 관청을 상대할 때, 시비를 법으로 다투는 방식이 있고, 청원·탄원·진정·질의·건의·제안 … 들도 한다.

‘진정’은 같은 소리 다른 말이 열댓 가지가 넘는데, 실제 쓰이는 말은 서넛에 지나지 않는다. 흔히 ‘진정이 들어오다, 진정을 하다, 진정이 몇 건이다, 진정서를 내다’처럼 쓰는데, 이때는 진정(陳情)을 쓴다. ‘사정이 사촌보다 낫다’는 말처럼 개인이든 관청이든 사정도 잘만 하면 어느 정도 먹히는 까닭에 나온 말이다. 전문가를 거치지 않고 돈과 품을 덜 들이고 할 수 있는 일이 ‘진정’이다. 억울하고 답답할 때 관청에 적발로 하소연하는 것으로, 꽤 유용한 방식이다.

다만 염치·분수·의리·정분에 얽매여 참고 지내는 걸 미덕인 양 잘 활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저 ‘누가·언제·어디서·무엇을·어떻게·왜’ 등 기본 얼개를 갖춰 사실을 더덜없이 엮으면 된다. 기사문체와 다를 게 없지만, 사정이나 억울함을 호소하는 점이 좀 특이하달까.

남에게 억울한 짓을 하지 말아야겠지만 그런 일을 당했을 때 참기만 해서는 사회가 맑아지지 않는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3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8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806
686 나수 좀 드소! file 바람의종 2009.07.28 6040
685 신청·청구 바람의종 2009.07.28 8449
684 꺼벙이 바람의종 2009.07.27 7167
683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960
682 살망졍이 바람의종 2009.07.26 6551
681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24
680 능소니 바람의종 2009.07.25 7877
679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61
678 더하고 빼기 바람의종 2009.07.24 7682
677 당나귀 file 바람의종 2009.07.23 5334
676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547
675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14
674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794
673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33
672 오소리 바람의종 2009.07.18 7695
671 노트·노트북 바람의종 2009.07.17 6267
670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89
669 삐리라 바람의종 2009.07.16 8057
» 진정서 바람의종 2009.07.16 6321
667 살쾡이 file 바람의종 2009.07.15 6122
666 스펙 바람의종 2009.07.15 5483
665 사랑금이 file 바람의종 2009.07.14 54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