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14 12:51

묵어 불어

조회 수 66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묵어 불어

고장말

‘불다’는 행동이 끝났음을 보이는 보조동사로, 표준말 ‘버리다’에 대응하는 말이다. ‘불다’는 ‘뿔다’와 함께 전라·경상 지역에서 흔히 쓰인다. “그라다가 참말로 묵어 불면 어쩔라고 그렇게 태평스럽소?”(<녹두장군> 송기숙) “야들 다 죽어 뿔겄네, 죽어 뿔어.”(<불놀이> 조정래) “그린디 그 닷 되 밥을 혼자 다 먹어 뻔져.”(<한국구비문학대계> 충남편) ‘불다/뿔다’는 ‘-었-’과 결합하면 ‘ㄹ’이 탈락하기도 한다. “그래서 어무임은 물론, 저한테 쪼맨큼 기대를 걸었던 주위 사람들을 실망시키고 말아 뿠지예.”(<노을> 김원일)

전라 쪽에서는 ‘번지다/뻔지다, 분지다/뿐지다’들도 쓰인다. ‘번지다/뻔지다’는 전북에서 많이 쓰고, 충남 일부에서도 쓰인다. “독을 가져가시오. 웃댕이 하나만 딱 내려놓고 다 가져가 뻔지라.”(<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그런 자식놈이 죄다 먹어 분진게 아 그 애기를 업고 묻을라고 갔다 그 말이여.”(위 책) “꾀 홀랑 벗고, 옷 죄다 벗어 뿐지고 요 이불 밑이서 이렇게 자먼 좋을 턴디 그 옷을 걍 입고 자서 그것 땜시 내가 성화를 댔소 잉.”(위 책) “아 즈 아버지 치상치고서는 그냥 내쫓아 번졌네.”(위 책, 충남편)

‘버리다’는 주로 동사 뒤에 쓰이지만, 전라 쪽에서는 일부 형용사 뒤에서 놀라움이나 강조를 나타내기도 한다. “으매 추워 분 거.” “오지게 좋아 불어.”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2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8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784
1676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404
1675 인상착의, 금품수수 바람의종 2009.08.06 7491
1674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96
1673 청설모 바람의종 2009.08.07 8747
1672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94
1671 맛빼기, 맛배기, 맛뵈기 바람의종 2009.08.07 10548
1670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24
1669 -화하다, -화되다 바람의종 2009.08.07 9580
1668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3
1667 쟈고미 바람의종 2009.08.27 6908
1666 깡총깡총 / 부조 바람의종 2009.08.27 8605
1665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927
1664 역할 / 역활 바람의종 2009.08.27 19988
1663 마도로스 바람의종 2009.08.29 6155
1662 도요새 바람의종 2009.08.29 6319
1661 무더위 바람의종 2009.08.29 6002
1660 '-화하다' / '-화시키다' 바람의종 2009.08.29 18037
1659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8.29 10808
1658 참말 바람의종 2009.09.01 9451
1657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535
1656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624
1655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