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14 12:51

묵어 불어

조회 수 66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묵어 불어

고장말

‘불다’는 행동이 끝났음을 보이는 보조동사로, 표준말 ‘버리다’에 대응하는 말이다. ‘불다’는 ‘뿔다’와 함께 전라·경상 지역에서 흔히 쓰인다. “그라다가 참말로 묵어 불면 어쩔라고 그렇게 태평스럽소?”(<녹두장군> 송기숙) “야들 다 죽어 뿔겄네, 죽어 뿔어.”(<불놀이> 조정래) “그린디 그 닷 되 밥을 혼자 다 먹어 뻔져.”(<한국구비문학대계> 충남편) ‘불다/뿔다’는 ‘-었-’과 결합하면 ‘ㄹ’이 탈락하기도 한다. “그래서 어무임은 물론, 저한테 쪼맨큼 기대를 걸었던 주위 사람들을 실망시키고 말아 뿠지예.”(<노을> 김원일)

전라 쪽에서는 ‘번지다/뻔지다, 분지다/뿐지다’들도 쓰인다. ‘번지다/뻔지다’는 전북에서 많이 쓰고, 충남 일부에서도 쓰인다. “독을 가져가시오. 웃댕이 하나만 딱 내려놓고 다 가져가 뻔지라.”(<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그런 자식놈이 죄다 먹어 분진게 아 그 애기를 업고 묻을라고 갔다 그 말이여.”(위 책) “꾀 홀랑 벗고, 옷 죄다 벗어 뿐지고 요 이불 밑이서 이렇게 자먼 좋을 턴디 그 옷을 걍 입고 자서 그것 땜시 내가 성화를 댔소 잉.”(위 책) “아 즈 아버지 치상치고서는 그냥 내쫓아 번졌네.”(위 책, 충남편)

‘버리다’는 주로 동사 뒤에 쓰이지만, 전라 쪽에서는 일부 형용사 뒤에서 놀라움이나 강조를 나타내기도 한다. “으매 추워 분 거.” “오지게 좋아 불어.”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29
2688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615
2687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15
2686 그리고 나서, 그리고는 바람의종 2008.09.07 6616
2685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618
2684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20
2683 뗑깡 바람의종 2008.02.10 6620
2682 사날, 나달 바람의종 2009.08.02 6620
2681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623
2680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25
2679 상사화 바람의종 2008.07.06 6634
2678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634
2677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34
2676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36
2675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45
2674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46
2673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48
2672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652
2671 카디건 바람의종 2009.02.18 6652
2670 좌익 바람의종 2007.08.20 6663
2669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64
2668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665
2667 ~로부터 바람의종 2008.11.21 66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