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13 05:31

이무기

조회 수 718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무기

짐승이름

“어서 이목이를 내 놓으라. 처형하러 왔노라!” 보양이 배나무를 가리키며, “둔갑한 이목입니다”라고 말하자 벼락이 나무에 떨어져 나무 허리가 잘리곤 조용해졌다. 마루 밑에 숨겨주었던 이목이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바로 배나무를 만지니 되살아났다.(삼국유사)

신라 때, 논밭이 거북등이 돼 물 한 모금 구하기가 어려웠다. 보양이 절 옆 깊은 못에 사는 이목이에게 비를 내려 달라 부탁하니, 딱하게 여긴 이목이가 하늘의 시킴을 어기고 비를 뿌린 것이 문제의 빌미였다. 목숨을 건 일이다.

배나무와 관련지어 이목(梨木), 그 소리가 바뀌어 이무기가 됐다. 물론 전설이다. 이두식으로 읽으면 이목의 ‘이’가 뱀을 이른다. 이무기는 천년을 기다려야 뜻을 이룬다는 큰 뱀으로 알려졌다. 심형래씨가 감독한 영화 <디 워>에서 부라퀴는 하늘을 주름잡는 용이다. 세상이 어렵고 보니 한번 크게 바꿔 놓았으면 하는 소리 없는 아우성이 들리는듯. 여기 부라퀴는 곰으로 치자면 불곰이다. 몹시 야물고 암팡스러우며 이로운 일이면 기를 쓰고 덤비는 사람을 이른다. 우리가 사는 길목에서 그렇지 않은 사람이 몇이나 될까. 영화 끝자락에 아리랑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한민족의 쓰라린 한에 대한 씻김굿 같은 그런 느낌을 주기도 한다. 이무기는 나와 우리의 이야기요, 무의식이란 연못에서 끝없이 때를 기다리는 저마다의 영상인 것을.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5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027
1038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322
1037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321
1036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318
1035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317
1034 바람의종 2008.08.21 7311
1033 내 탓이오 바람의종 2008.04.03 7308
1032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307
1031 ~에 대한 바람의종 2008.03.11 7306
1030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303
1029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302
1028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300
1027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98
1026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97
1025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293
1024 유명세를 타다 바람의종 2008.10.30 7293
1023 오늘은 왠지... 바람의종 2008.04.13 7286
1022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85
1021 벽과 담 윤영환 2011.11.28 7284
1020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283
1019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278
1018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74
1017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