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13 05:31

이무기

조회 수 719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무기

짐승이름

“어서 이목이를 내 놓으라. 처형하러 왔노라!” 보양이 배나무를 가리키며, “둔갑한 이목입니다”라고 말하자 벼락이 나무에 떨어져 나무 허리가 잘리곤 조용해졌다. 마루 밑에 숨겨주었던 이목이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바로 배나무를 만지니 되살아났다.(삼국유사)

신라 때, 논밭이 거북등이 돼 물 한 모금 구하기가 어려웠다. 보양이 절 옆 깊은 못에 사는 이목이에게 비를 내려 달라 부탁하니, 딱하게 여긴 이목이가 하늘의 시킴을 어기고 비를 뿌린 것이 문제의 빌미였다. 목숨을 건 일이다.

배나무와 관련지어 이목(梨木), 그 소리가 바뀌어 이무기가 됐다. 물론 전설이다. 이두식으로 읽으면 이목의 ‘이’가 뱀을 이른다. 이무기는 천년을 기다려야 뜻을 이룬다는 큰 뱀으로 알려졌다. 심형래씨가 감독한 영화 <디 워>에서 부라퀴는 하늘을 주름잡는 용이다. 세상이 어렵고 보니 한번 크게 바꿔 놓았으면 하는 소리 없는 아우성이 들리는듯. 여기 부라퀴는 곰으로 치자면 불곰이다. 몹시 야물고 암팡스러우며 이로운 일이면 기를 쓰고 덤비는 사람을 이른다. 우리가 사는 길목에서 그렇지 않은 사람이 몇이나 될까. 영화 끝자락에 아리랑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한민족의 쓰라린 한에 대한 씻김굿 같은 그런 느낌을 주기도 한다. 이무기는 나와 우리의 이야기요, 무의식이란 연못에서 끝없이 때를 기다리는 저마다의 영상인 것을.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0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4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403
664 묵어 불어 바람의종 2009.07.14 6617
663 덕분 바람의종 2009.07.13 5808
» 이무기 바람의종 2009.07.13 7190
661 와인 바람의종 2009.07.12 7271
660 훕시 바람의종 2009.07.12 8941
659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635
658 선비 바람의종 2009.07.10 6389
657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084
656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41
655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62
654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80
653 여성 바람의종 2009.07.06 5986
652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95
651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60
650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20
649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835
648 일자리 바람의종 2009.06.29 6215
647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389
646 엘레지 바람의종 2009.06.17 7491
645 줄이·존이 바람의종 2009.06.17 6383
644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925
643 말할 자격 바람의종 2009.06.16 74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