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10 01:12

먹고 잪다

조회 수 663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먹고 잪다

고장말

‘잪다’는 표준어 ‘싶다’에 대응하는 말로, 주로 경상·전라 쪽 고장말이다. “너 이년 별당마님이 되고 잪은 모양이구나?”(<완장> 윤흥길) ‘싶다’는 ‘먹고 싶다/ 죽고 싶다’와 같이 바람을 나타내기도 하고, ‘비가 오는가 싶어’처럼 추측을 나타내기도 한다. ‘잪다’는 바람 뜻으로만 쓰이며, 추측은 ‘싶다’가 쓰인다. “외줄타기 목숨은 한 가닥인디 외나무다리 건너가다 뒤퉁그러져 그 잘난 뼉다구 박살나까 싶응게.”(<혼불> 최명희)

‘잪다’의 또다른 형태는 ‘젚다, 짚다’와 ‘잡다’다. “오늘은 눈도 설설 오고 우짠지 오매가 보고 젚다.”(<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편) “밤마다 목매달아 죽고 짚은 맘이야 열두 고개를 더 넘지마는 차마 죽지 몬하고 ….”(<불의 제전> 김원일) ‘젚다’는 충청에서도 쓰이는데, 바람·추측 두루 쓰인다는 점이 다르다. “배가 고프구 이렇게 잘 자시덜 못할 텐디 젚운 생각이 있어서 ….”(<한국구비문학대계> 충남편)

‘젚다’와 ‘짚다’는 경상·전라에서 두루 쓰이고, ‘잡다’는 전라에서만 나타난다. “여봇시요, 내가 먹고 잡어서 먹소. 애기 젖 많이 난당께 먹제.”(위 책, 전남편) 또한 ‘잡다’는 ‘먹고 자와서, 먹고 자워서’와 같이 활용하기도 한다. “즈그 여자가 보고 자워서 어짤 중을 몰라.”(위 책, 전남편) “아 여그 오실 적으 머 작은아씨가 오시고 자와서 지 발로 걸어오셌능가요?”(<혼불> 최명희)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2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7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761
1676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323
1675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8066
1674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14
1673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47
1672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5995
1671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22
1670 사설을 늘어놓다 바람의종 2008.01.15 7480
1669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70
1668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56
1667 사시미, 스시, 스키다시, 락교, 와사비 바람의종 2012.09.04 11289
1666 사십구재 바람의종 2007.11.09 7004
1665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바람의종 2009.05.26 12036
1664 사위스럽다 바람의종 2010.11.11 12919
1663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751
1662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77
1661 사이다 바람의종 2010.06.16 11671
1660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61
1659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58
1658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091
1657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2.10.15 10627
1656 사이시옷 적기 바람의종 2010.01.08 7250
1655 사인 바람의종 2010.03.19 112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