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10 01:12

먹고 잪다

조회 수 664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먹고 잪다

고장말

‘잪다’는 표준어 ‘싶다’에 대응하는 말로, 주로 경상·전라 쪽 고장말이다. “너 이년 별당마님이 되고 잪은 모양이구나?”(<완장> 윤흥길) ‘싶다’는 ‘먹고 싶다/ 죽고 싶다’와 같이 바람을 나타내기도 하고, ‘비가 오는가 싶어’처럼 추측을 나타내기도 한다. ‘잪다’는 바람 뜻으로만 쓰이며, 추측은 ‘싶다’가 쓰인다. “외줄타기 목숨은 한 가닥인디 외나무다리 건너가다 뒤퉁그러져 그 잘난 뼉다구 박살나까 싶응게.”(<혼불> 최명희)

‘잪다’의 또다른 형태는 ‘젚다, 짚다’와 ‘잡다’다. “오늘은 눈도 설설 오고 우짠지 오매가 보고 젚다.”(<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편) “밤마다 목매달아 죽고 짚은 맘이야 열두 고개를 더 넘지마는 차마 죽지 몬하고 ….”(<불의 제전> 김원일) ‘젚다’는 충청에서도 쓰이는데, 바람·추측 두루 쓰인다는 점이 다르다. “배가 고프구 이렇게 잘 자시덜 못할 텐디 젚운 생각이 있어서 ….”(<한국구비문학대계> 충남편)

‘젚다’와 ‘짚다’는 경상·전라에서 두루 쓰이고, ‘잡다’는 전라에서만 나타난다. “여봇시요, 내가 먹고 잡어서 먹소. 애기 젖 많이 난당께 먹제.”(위 책, 전남편) 또한 ‘잡다’는 ‘먹고 자와서, 먹고 자워서’와 같이 활용하기도 한다. “즈그 여자가 보고 자워서 어짤 중을 몰라.”(위 책, 전남편) “아 여그 오실 적으 머 작은아씨가 오시고 자와서 지 발로 걸어오셌능가요?”(<혼불> 최명희)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7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2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162
2138 맨발, 맨 밑바닥 바람의종 2009.07.28 8718
2137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277
2136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78
2135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람의종 2010.11.01 12807
2134 머슴날 바람의종 2009.08.02 7232
2133 머지않아 바람의종 2010.03.22 11248
2132 머지않아/멀지않아 바람의종 2009.02.04 10287
2131 바람의종 2009.05.06 7848
2130 먹거리 바람의종 2010.11.03 10079
2129 먹거리,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11.16 6077
2128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511
»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640
2126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817
2125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925
2124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905
2123 먹통 같다 바람의종 2008.01.07 9723
2122 먼지털이, 재털이 바람의종 2010.03.13 9725
2121 멀쩡하다 / 내외빈 風文 2020.06.18 1912
2120 멋, 맵시 바람의종 2010.07.18 9634
2119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700
2118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28
2117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2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