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7 02:54

송고리

조회 수 735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송고리

사람이름

야인 이름에는 한반도와 일본 열도 사람이름과 비슷한 것들이 눈에 띈다. 야인 이름 가운데는 ‘오·로’로 끝나는 이름도 적잖다.

‘거여로·노화로·다하로·도보로·망가로·부가로·삼바로·샤로·소기로·아가로·모다오·야시우·옴소오’들이 보인다. 이런 요소는 일본사람 이름에도 보이는데, 야인 이름과 관계가 있을 법하다.

한반도의 ‘도로/되로·마로·미라로·보로·소로·야로·을소로’도 이런 보기일 것이다. 이름접미사에서 한반도의 ‘-수’는 야인의 ‘-소/-수와 잇닿아 있다. 야인 이름에 ‘갈수·굼소·볼고소·아라소·어부로소·얼수·이하소’가 보인다.

더불어 야인 이름 ‘몰오·솔오·숑고로·수구로’는 한반도의 ‘몰로이·솔이·송고리·수구리’와, ‘벌거·샹자·수사·수허·어부커·판차’는 한반도의 ‘벌개·샹재·수새·수허리·어부개·번재’에 해당된다.

이런 음운 대응을 살필 때, 이름접미사 ‘-소/-수’에 ‘ㅣ’가 더해져 ‘-쇠’가 되었거나, ‘-쇠’에서 ‘ㅣ’가 빠져 ‘-소/-수’가 된 듯하다. 두 지역어가 방언학적 연장선에 있었다 할 수 있다.

역사는 오랜 세월의 축적이다. 조선 초만 해도 고구려 후예인 야인들과 문화 연속체를 이루며 산 듯하다. 그러다 조선 왕조가 사대를 앞세워 그들과 공존하지 못하는 사이, 청나라를 세운 그들에게 조선은 무참히 짓밟히고 말았다.(병자호란)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79
1126 주먹구구 바람의종 2007.05.18 7475
1125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72
1124 세상은 아직… 바람의종 2010.09.29 7468
1123 서울 風磬 2007.01.19 7467
1122 무더위, 불볕더위 바람의종 2012.05.18 7466
1121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60
1120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458
1119 도락 바람의종 2007.06.26 7458
1118 바람의종 2008.09.19 7452
1117 사설을 늘어놓다 바람의종 2008.01.15 7449
1116 말씀이 계시다 바람의종 2009.07.30 7442
1115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38
1114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437
1113 바꾸다, 고치다 바람의종 2010.04.10 7436
1112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35
1111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35
1110 아수라장 바람의종 2007.12.15 7434
1109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433
1108 돌나물 바람의종 2008.06.02 7433
1107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31
1106 국수 바람의종 2007.06.05 7431
1105 파랑새 바람의종 2009.06.16 74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