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7 02:54

송고리

조회 수 736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송고리

사람이름

야인 이름에는 한반도와 일본 열도 사람이름과 비슷한 것들이 눈에 띈다. 야인 이름 가운데는 ‘오·로’로 끝나는 이름도 적잖다.

‘거여로·노화로·다하로·도보로·망가로·부가로·삼바로·샤로·소기로·아가로·모다오·야시우·옴소오’들이 보인다. 이런 요소는 일본사람 이름에도 보이는데, 야인 이름과 관계가 있을 법하다.

한반도의 ‘도로/되로·마로·미라로·보로·소로·야로·을소로’도 이런 보기일 것이다. 이름접미사에서 한반도의 ‘-수’는 야인의 ‘-소/-수와 잇닿아 있다. 야인 이름에 ‘갈수·굼소·볼고소·아라소·어부로소·얼수·이하소’가 보인다.

더불어 야인 이름 ‘몰오·솔오·숑고로·수구로’는 한반도의 ‘몰로이·솔이·송고리·수구리’와, ‘벌거·샹자·수사·수허·어부커·판차’는 한반도의 ‘벌개·샹재·수새·수허리·어부개·번재’에 해당된다.

이런 음운 대응을 살필 때, 이름접미사 ‘-소/-수’에 ‘ㅣ’가 더해져 ‘-쇠’가 되었거나, ‘-쇠’에서 ‘ㅣ’가 빠져 ‘-소/-수’가 된 듯하다. 두 지역어가 방언학적 연장선에 있었다 할 수 있다.

역사는 오랜 세월의 축적이다. 조선 초만 해도 고구려 후예인 야인들과 문화 연속체를 이루며 산 듯하다. 그러다 조선 왕조가 사대를 앞세워 그들과 공존하지 못하는 사이, 청나라를 세운 그들에게 조선은 무참히 짓밟히고 말았다.(병자호란)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9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422
1984 수근거리다, 소근거리다 바람의종 2010.01.26 10682
1983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50
1982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9996
1981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23
1980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806
1979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43
1978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790
1977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34
1976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242
1975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402
1974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59
1973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496
1972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50
1971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691
1970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402
»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62
1968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778
1967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45
1966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95
1965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55
1964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28
1963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79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