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7 02:52

가드랬수

조회 수 635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드랬수

고장말

‘-드랬-’은 평안·황해의 ‘-댔-’, 제주의 ‘-어시-’와 마찬가지로 과거를 나타내는 토로서, 주로 평안·황해 쪽에서 쓴다. “넷날에 한 낸(아낙)이 늙두룩 아를 못나서 애타다가 갸우 아들을 하나 났넌데 이놈에 아레 아무것두 않구 먹기만 하는 믹재기드랬다.”(<한국구전설화> 평안편) 과거를 나타내는 ‘-었-’이 앞선 과거를 나타내려면 같은 형태를 겹쳐 쓰지만(-었었/았었-), ‘-드랬-’은 ‘-드랬드랬-’처럼은 쓰지 않는다. ‘-댔-’과 마찬가지로 ‘-었-’을 ‘-드랬-’ 앞에 쓴 ‘-었드랬-’이 앞선 과거를 나타낸다. “넷날에 떡돌이라는 아와 두터비라는 아레 있었드랬넌데 이 아덜 둘이는 여간만 친하딜 안했다.”(위 책) 경기·강원·경북 일부에서는 ‘-었드랬-’이 보인다. “모든 거이 정말 맘이 안 놓였드랬는지 오빠가 가시면서 ….”(<한국구비문학대계> 경기편) “그때에는 호랭이가 쌨드랬어요.”(위 책, 강원편)

‘-드랬-’은 단순히 있었던 일만을 나타낼뿐더러 과거에 어떤 일이 진행되고 있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잠을 자드랬는데 아덜이 과티는(떠드는) 바람에 못 잤다.”(<조선 방언학 개요> 김병제)

‘-드랬-’과 ‘-었드랬-’의 또다른 형태는 ‘-더랬-’과 ‘-었더랬-’이다. “방금 밥을 먹더랬다.”(<평북방언사전>) “산골짝으루다 집이 띄엄띄엄 있더랬어요.” “떡 글방을 채리고 있었더랬어요.”(<한국구비문학대계> 강원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07
1808 살림 風磬 2006.12.26 6289
1807 바람의종 2012.09.12 8987
1806 산통 깨다 바람의종 2007.05.10 10945
1805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394
1804 산오이풀 바람의종 2008.04.07 7107
1803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115
1802 산림욕 / 삼림욕 바람의종 2008.08.21 7116
1801 바람의종 2013.01.25 17881
1800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바람의종 2008.10.10 10547
1799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21
1798 사회 지도층 바람의종 2011.11.25 9715
1797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48
1796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10046
1795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403
1794 사탕·기름사탕 바람의종 2008.06.07 8731
1793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357
1792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51
1791 사주단자 바람의종 2007.11.10 11735
1790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84
1789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32
1788 사족 바람의종 2007.07.18 6335
1787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0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