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7 09:08

먹어시냐

조회 수 591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먹어시냐

고장말

 ‘-어시-’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끝났음을 나타내는 제주말로, 표준어 ‘-었-’에 대응한다. “쌀 뒈라도 보내여시민 ….”(<제주어사전>) “익어시냐 점 설어시냐?”(<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표준어 ‘-었-’은 어떤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내는 ‘-어 잇다’의 ‘-어 잇-’이 ‘-어 잇>엣>엇>었-’과 같은 변화를 겪은 형태다.(예 니르러셔 머믈어 잇더니·소학언해) 마찬가지로 ‘-어시-’ 또한 ‘-어 시다(있다)’의 ‘-어 시-’가 ‘-어시-’로 굳어진 것이다. ‘-어시-’가 ‘-어 시다’에서 온 말이기에 ‘-어시-’는 ‘-어 있-’의 뜻으로도 쓰인다. “자인 문도에 앚앗저(<아 시저)”(저 아이는 문턱에 앉아 있다) “가인 애기 업엇저(<업어 시저)” 과거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었-’이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는 경우는 다른 지역 고장말에서도 나타난다. “여그다 채리놓고 우리는 그늘 밑이 가서 숨어 앉었자.”(<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누었어 봐.”(누워 있어 봐·충남)

 ‘-어시-’의 또다른 형태는 ‘-아시-’다. ‘-아시’는 ‘ㅏ’나 ‘ㅗ’와 같은 양성모음 뒤에서 쓰인다는 점이 ‘-어시-’와 다르다. “주천강 연해못디 물올랭이 쌍이 앚아시나네.”(주천강 연해못에 물오리 한 쌍이 앉았네) “지금 살아시민 백스믈여섯쯤 났주.”(<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19
1830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45
1829 대원군 바람의종 2007.06.24 8944
1828 니, 네 바람의종 2011.10.25 8944
1827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941
1826 눈발, 빗발, 화장발 바람의종 2012.09.27 8937
1825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936
1824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33
1823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8933
1822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33
1821 ~노, ~나 바람의종 2010.09.05 8932
1820 내일 뵈요. 바람의종 2009.07.07 8930
1819 과욋돈 바람의종 2012.08.21 8926
1818 어금니, 엄니 바람의종 2010.10.06 8925
1817 우레 바람의종 2007.03.03 8924
1816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924
1815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922
1814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8919
1813 빨강색, 빨간색, 빨강 바람의종 2008.11.27 8919
1812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18
1811 아프리카의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02 8917
1810 나들목 바람의종 2010.05.29 8910
1809 운명, 유명 바람의종 2008.12.26 89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