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7 09:08

먹어시냐

조회 수 592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먹어시냐

고장말

 ‘-어시-’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끝났음을 나타내는 제주말로, 표준어 ‘-었-’에 대응한다. “쌀 뒈라도 보내여시민 ….”(<제주어사전>) “익어시냐 점 설어시냐?”(<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표준어 ‘-었-’은 어떤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내는 ‘-어 잇다’의 ‘-어 잇-’이 ‘-어 잇>엣>엇>었-’과 같은 변화를 겪은 형태다.(예 니르러셔 머믈어 잇더니·소학언해) 마찬가지로 ‘-어시-’ 또한 ‘-어 시다(있다)’의 ‘-어 시-’가 ‘-어시-’로 굳어진 것이다. ‘-어시-’가 ‘-어 시다’에서 온 말이기에 ‘-어시-’는 ‘-어 있-’의 뜻으로도 쓰인다. “자인 문도에 앚앗저(<아 시저)”(저 아이는 문턱에 앉아 있다) “가인 애기 업엇저(<업어 시저)” 과거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었-’이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는 경우는 다른 지역 고장말에서도 나타난다. “여그다 채리놓고 우리는 그늘 밑이 가서 숨어 앉었자.”(<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누었어 봐.”(누워 있어 봐·충남)

 ‘-어시-’의 또다른 형태는 ‘-아시-’다. ‘-아시’는 ‘ㅏ’나 ‘ㅗ’와 같은 양성모음 뒤에서 쓰인다는 점이 ‘-어시-’와 다르다. “주천강 연해못디 물올랭이 쌍이 앚아시나네.”(주천강 연해못에 물오리 한 쌍이 앉았네) “지금 살아시민 백스믈여섯쯤 났주.”(<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7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06
2138 맨발, 맨 밑바닥 바람의종 2009.07.28 8718
2137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314
2136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78
2135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람의종 2010.11.01 12810
2134 머슴날 바람의종 2009.08.02 7233
2133 머지않아 바람의종 2010.03.22 11251
2132 머지않아/멀지않아 바람의종 2009.02.04 10290
2131 바람의종 2009.05.06 7851
2130 먹거리 바람의종 2010.11.03 10079
2129 먹거리,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11.16 6080
2128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524
2127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640
2126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822
»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928
2124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905
2123 먹통 같다 바람의종 2008.01.07 9723
2122 먼지털이, 재털이 바람의종 2010.03.13 9725
2121 멀쩡하다 / 내외빈 風文 2020.06.18 1924
2120 멋, 맵시 바람의종 2010.07.18 9637
2119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722
2118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34
2117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2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