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7 09:08

먹어시냐

조회 수 591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먹어시냐

고장말

 ‘-어시-’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끝났음을 나타내는 제주말로, 표준어 ‘-었-’에 대응한다. “쌀 뒈라도 보내여시민 ….”(<제주어사전>) “익어시냐 점 설어시냐?”(<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표준어 ‘-었-’은 어떤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내는 ‘-어 잇다’의 ‘-어 잇-’이 ‘-어 잇>엣>엇>었-’과 같은 변화를 겪은 형태다.(예 니르러셔 머믈어 잇더니·소학언해) 마찬가지로 ‘-어시-’ 또한 ‘-어 시다(있다)’의 ‘-어 시-’가 ‘-어시-’로 굳어진 것이다. ‘-어시-’가 ‘-어 시다’에서 온 말이기에 ‘-어시-’는 ‘-어 있-’의 뜻으로도 쓰인다. “자인 문도에 앚앗저(<아 시저)”(저 아이는 문턱에 앉아 있다) “가인 애기 업엇저(<업어 시저)” 과거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었-’이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는 경우는 다른 지역 고장말에서도 나타난다. “여그다 채리놓고 우리는 그늘 밑이 가서 숨어 앉었자.”(<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누었어 봐.”(누워 있어 봐·충남)

 ‘-어시-’의 또다른 형태는 ‘-아시-’다. ‘-아시’는 ‘ㅏ’나 ‘ㅗ’와 같은 양성모음 뒤에서 쓰인다는 점이 ‘-어시-’와 다르다. “주천강 연해못디 물올랭이 쌍이 앚아시나네.”(주천강 연해못에 물오리 한 쌍이 앉았네) “지금 살아시민 백스믈여섯쯤 났주.”(<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6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1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077
2908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16
2907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18
2906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819
2905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822
2904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825
2903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840
2902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842
2901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63
2900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875
2899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880
2898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882
2897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894
2896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900
2895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06
2894 너더리 바람의종 2009.02.17 5907
2893 말째다 바람의종 2008.06.24 5910
2892 경품과 덤 바람의종 2009.07.13 5911
2891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5916
»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917
2889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23
2888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24
2887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59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