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7 09:08

먹어시냐

조회 수 586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먹어시냐

고장말

 ‘-어시-’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끝났음을 나타내는 제주말로, 표준어 ‘-었-’에 대응한다. “쌀 뒈라도 보내여시민 ….”(<제주어사전>) “익어시냐 점 설어시냐?”(<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표준어 ‘-었-’은 어떤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내는 ‘-어 잇다’의 ‘-어 잇-’이 ‘-어 잇>엣>엇>었-’과 같은 변화를 겪은 형태다.(예 니르러셔 머믈어 잇더니·소학언해) 마찬가지로 ‘-어시-’ 또한 ‘-어 시다(있다)’의 ‘-어 시-’가 ‘-어시-’로 굳어진 것이다. ‘-어시-’가 ‘-어 시다’에서 온 말이기에 ‘-어시-’는 ‘-어 있-’의 뜻으로도 쓰인다. “자인 문도에 앚앗저(<아 시저)”(저 아이는 문턱에 앉아 있다) “가인 애기 업엇저(<업어 시저)” 과거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었-’이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는 경우는 다른 지역 고장말에서도 나타난다. “여그다 채리놓고 우리는 그늘 밑이 가서 숨어 앉었자.”(<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누었어 봐.”(누워 있어 봐·충남)

 ‘-어시-’의 또다른 형태는 ‘-아시-’다. ‘-아시’는 ‘ㅏ’나 ‘ㅗ’와 같은 양성모음 뒤에서 쓰인다는 점이 ‘-어시-’와 다르다. “주천강 연해못디 물올랭이 쌍이 앚아시나네.”(주천강 연해못에 물오리 한 쌍이 앉았네) “지금 살아시민 백스믈여섯쯤 났주.”(<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85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50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9950
660 훕시 바람의종 2009.07.12 8785
659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583
658 선비 바람의종 2009.07.10 6345
657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060
656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02
655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23
654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262
653 여성 바람의종 2009.07.06 5952
652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60
651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20
650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279
649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734
648 일자리 바람의종 2009.06.29 6183
647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253
646 엘레지 바람의종 2009.06.17 7468
645 줄이·존이 바람의종 2009.06.17 6349
»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866
643 말할 자격 바람의종 2009.06.16 7390
642 파랑새 바람의종 2009.06.16 7267
641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6947
640 어눅이 바람의종 2009.06.15 6755
639 죽갔쉐다래 바람의종 2009.06.15 63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