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7 09:08

먹어시냐

조회 수 588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먹어시냐

고장말

 ‘-어시-’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끝났음을 나타내는 제주말로, 표준어 ‘-었-’에 대응한다. “쌀 뒈라도 보내여시민 ….”(<제주어사전>) “익어시냐 점 설어시냐?”(<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표준어 ‘-었-’은 어떤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내는 ‘-어 잇다’의 ‘-어 잇-’이 ‘-어 잇>엣>엇>었-’과 같은 변화를 겪은 형태다.(예 니르러셔 머믈어 잇더니·소학언해) 마찬가지로 ‘-어시-’ 또한 ‘-어 시다(있다)’의 ‘-어 시-’가 ‘-어시-’로 굳어진 것이다. ‘-어시-’가 ‘-어 시다’에서 온 말이기에 ‘-어시-’는 ‘-어 있-’의 뜻으로도 쓰인다. “자인 문도에 앚앗저(<아 시저)”(저 아이는 문턱에 앉아 있다) “가인 애기 업엇저(<업어 시저)” 과거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었-’이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는 경우는 다른 지역 고장말에서도 나타난다. “여그다 채리놓고 우리는 그늘 밑이 가서 숨어 앉었자.”(<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누었어 봐.”(누워 있어 봐·충남)

 ‘-어시-’의 또다른 형태는 ‘-아시-’다. ‘-아시’는 ‘ㅏ’나 ‘ㅗ’와 같은 양성모음 뒤에서 쓰인다는 점이 ‘-어시-’와 다르다. “주천강 연해못디 물올랭이 쌍이 앚아시나네.”(주천강 연해못에 물오리 한 쌍이 앉았네) “지금 살아시민 백스믈여섯쯤 났주.”(<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09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73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2439
1628 일자리 바람의종 2009.06.29 6203
1627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266
1626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835
1625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466
1624 엘레지 바람의종 2009.06.17 7476
1623 줄이·존이 바람의종 2009.06.17 6360
»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889
1621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165
1620 공쿠르, 콩쿠르 바람의종 2009.06.16 5754
1619 말할 자격 바람의종 2009.06.16 7405
1618 파랑새 바람의종 2009.06.16 7305
1617 에다 / 에이다 바람의종 2009.06.15 10204
1616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763
1615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6956
1614 어눅이 바람의종 2009.06.15 6773
1613 죽갔쉐다래 바람의종 2009.06.15 6339
1612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09.06.12 7124
1611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288
1610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456
1609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451
1608 선택사양 바람의종 2009.06.11 6682
1607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바람의종 2009.06.11 82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