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6 08:25

말할 자격

조회 수 745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할 자격

언어예절

청렴·결백은 선비들이나 벼슬아치들이 큰 덕목으로 삼던 말이다. 탐욕을 부리자면 그럴 수 있는 권력자들이 그러잖고 살기가 얼마나 어렵겠는가. 벼슬을 오래 지키려는 방편이었대도 어디 탐관오리에 비기랴. 그러고 보면, 조선 500년에 청백리 218명은 적은 수가 아니다. 부자 되기를 제일로 치는 요즘, 청렴과 실력을 갖춘 공직 후보자를 찾기 어려운 것은 비극이지만, 한편으론 자연스런 일이기도 하다. 그저 부정·불법·비리가 좀 덜하면 봐주는 데까지 이르고, 재산 많고 적음은 뒷전이다. 그만큼 청빈이란 낡은 말이 돼 버렸나?

세상살이에 권장할 큰 덕목을 내세우자면 역시 청빈일 성싶다. 덜 벌고 덜 쓰고 덜 먹는 삶, 그런 사회에 걸맞은 물건을 만들자는 운동과 제도 굳히기가 쉬울 리는 없다. 오래 더불어 살 큰길인데도.

그렇다면 누가 있어 깨끗하게 살라고 말하고 가르치겠는가? 스스로 그래야 남에게도 그리하라고 말할 자격이 생긴다. 그래야 듣는이가 고개를 끄덕이고 말발이 먹힌다. 하지만 모든 이가 떳떳하기는 어렵다. 아쉽지만 옳은 일이 뭔지 정도만 안다면 그것으로도 최소한 말할 자격은 생기는 것으로 봐야겠다. 부모가 자식한테, 교사가 제자한테, 어른이 아이한테, 선배가 후배한테, 벗이 벗한테 깨끗하고 맑게 살라고 얘기할 수 있으면 장차 그 겨레는 밝을 터이다. 누구든 청렴까지는 몰라도 자신을 돌보는 염치만큼은 각별해야 한다는 말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623
1830 ~는가 알아보다 바람의종 2009.09.27 8450
1829 맞장(맞짱) 바람의종 2009.09.27 9716
1828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658
1827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233
1826 옥의 티, 옥에 티 바람의종 2009.09.26 10648
1825 '데'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6 11730
1824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948
1823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94
1822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94
1821 거래선, 거래처 바람의종 2009.09.24 10729
1820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544
1819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52
1818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338
1817 화이바 바람의종 2009.09.24 10755
1816 '같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3 12743
1815 널빤지, 널판지, 골판지 바람의종 2009.09.23 14530
1814 복구, 복귀 바람의종 2009.09.23 9704
1813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807
1812 짜다라 가 와라 바람의종 2009.09.23 11400
1811 민초, 백성, 서민 바람의종 2009.09.22 11612
1810 메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09.09.22 13501
1809 '막'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2 118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