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6 08:25

말할 자격

조회 수 74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할 자격

언어예절

청렴·결백은 선비들이나 벼슬아치들이 큰 덕목으로 삼던 말이다. 탐욕을 부리자면 그럴 수 있는 권력자들이 그러잖고 살기가 얼마나 어렵겠는가. 벼슬을 오래 지키려는 방편이었대도 어디 탐관오리에 비기랴. 그러고 보면, 조선 500년에 청백리 218명은 적은 수가 아니다. 부자 되기를 제일로 치는 요즘, 청렴과 실력을 갖춘 공직 후보자를 찾기 어려운 것은 비극이지만, 한편으론 자연스런 일이기도 하다. 그저 부정·불법·비리가 좀 덜하면 봐주는 데까지 이르고, 재산 많고 적음은 뒷전이다. 그만큼 청빈이란 낡은 말이 돼 버렸나?

세상살이에 권장할 큰 덕목을 내세우자면 역시 청빈일 성싶다. 덜 벌고 덜 쓰고 덜 먹는 삶, 그런 사회에 걸맞은 물건을 만들자는 운동과 제도 굳히기가 쉬울 리는 없다. 오래 더불어 살 큰길인데도.

그렇다면 누가 있어 깨끗하게 살라고 말하고 가르치겠는가? 스스로 그래야 남에게도 그리하라고 말할 자격이 생긴다. 그래야 듣는이가 고개를 끄덕이고 말발이 먹힌다. 하지만 모든 이가 떳떳하기는 어렵다. 아쉽지만 옳은 일이 뭔지 정도만 안다면 그것으로도 최소한 말할 자격은 생기는 것으로 봐야겠다. 부모가 자식한테, 교사가 제자한테, 어른이 아이한테, 선배가 후배한테, 벗이 벗한테 깨끗하고 맑게 살라고 얘기할 수 있으면 장차 그 겨레는 밝을 터이다. 누구든 청렴까지는 몰라도 자신을 돌보는 염치만큼은 각별해야 한다는 말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6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3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007
1830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9033
1829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9029
1828 실버 바람의종 2010.05.05 9026
1827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9025
1826 불은 라면 바람의종 2012.08.01 9025
1825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9023
1824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9019
1823 대원군 바람의종 2007.06.24 9019
1822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9019
1821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9018
1820 무릎노리 바람의종 2008.02.01 9018
1819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9018
1818 바람의종 2012.09.12 9017
1817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9010
1816 불호령 風磬 2006.12.23 9009
1815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9007
1814 전농동과 설렁탕 바람의종 2008.03.15 9006
1813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9002
1812 넥타 바람의종 2008.02.03 9002
1811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999
1810 설레이다, 설레다 바람의종 2009.07.06 8999
1809 에프원(F1) 바람의종 2011.11.21 89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