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6 08:25

말할 자격

조회 수 74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할 자격

언어예절

청렴·결백은 선비들이나 벼슬아치들이 큰 덕목으로 삼던 말이다. 탐욕을 부리자면 그럴 수 있는 권력자들이 그러잖고 살기가 얼마나 어렵겠는가. 벼슬을 오래 지키려는 방편이었대도 어디 탐관오리에 비기랴. 그러고 보면, 조선 500년에 청백리 218명은 적은 수가 아니다. 부자 되기를 제일로 치는 요즘, 청렴과 실력을 갖춘 공직 후보자를 찾기 어려운 것은 비극이지만, 한편으론 자연스런 일이기도 하다. 그저 부정·불법·비리가 좀 덜하면 봐주는 데까지 이르고, 재산 많고 적음은 뒷전이다. 그만큼 청빈이란 낡은 말이 돼 버렸나?

세상살이에 권장할 큰 덕목을 내세우자면 역시 청빈일 성싶다. 덜 벌고 덜 쓰고 덜 먹는 삶, 그런 사회에 걸맞은 물건을 만들자는 운동과 제도 굳히기가 쉬울 리는 없다. 오래 더불어 살 큰길인데도.

그렇다면 누가 있어 깨끗하게 살라고 말하고 가르치겠는가? 스스로 그래야 남에게도 그리하라고 말할 자격이 생긴다. 그래야 듣는이가 고개를 끄덕이고 말발이 먹힌다. 하지만 모든 이가 떳떳하기는 어렵다. 아쉽지만 옳은 일이 뭔지 정도만 안다면 그것으로도 최소한 말할 자격은 생기는 것으로 봐야겠다. 부모가 자식한테, 교사가 제자한테, 어른이 아이한테, 선배가 후배한테, 벗이 벗한테 깨끗하고 맑게 살라고 얘기할 수 있으면 장차 그 겨레는 밝을 터이다. 누구든 청렴까지는 몰라도 자신을 돌보는 염치만큼은 각별해야 한다는 말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5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38
1170 뒤웅스럽다 風磬 2006.11.16 7548
1169 장 담그셨나요? 바람의종 2008.04.14 7545
1168 안 본 지 바람의종 2010.01.14 7543
1167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541
1166 바람직안해 바람의종 2009.10.28 7537
1165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534
1164 비싼 돈, 싼 돈 바람의종 2010.02.06 7534
1163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33
1162 무크(지) 바람의종 2009.11.08 7527
1161 주인공과 장본인 바람의종 2008.09.18 7527
1160 성과 이름 바람의종 2009.03.08 7525
1159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24
1158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520
1157 아랍말과 히브리말 바람의종 2008.02.01 7519
1156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519
1155 배식 바람의종 2009.02.03 7517
1154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514
1153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514
1152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514
1151 개안 바람의종 2007.05.30 7514
1150 눈살, 등쌀 바람의종 2009.03.04 7513
1149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5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