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6 08:23

파랑새

조회 수 735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파랑새

짐슴이름

“새야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 장수 울고 간다// 새야새야 파랑새야 우리 논에 앉지 마라/…/ 새야새야 파랑새야 우리 밭에 앉지 마라.”

애절한 사연과 노랫가락이 가슴으로 젖어든다. 갑오개혁 때 일본군에 맞서 나라를 지키려던 전봉준의 동학군을 풍유적으로 나타냈다. 여기 파랑새는 파란 군복을 입었던 일본군, 녹두꽃은 녹두장군 전봉준 또는 농민군들이다. 달리 파랑새의 ‘파랑’은 전봉준의 전(全) 자를 푼 팔+왕(八王)을 소리 내면 ‘파랑’이 되니까 전봉준을 가리킨다고도 한다. ‘파랑새’ 아닌 ‘녹두새’로 된 노래도 있다.

외세 침탈을 받지 않고 평화롭게 살기를 바라던 흰옷 입은 백성들 …. 노벨문학상을 받았던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파랑새>(L’Oiseau bleu)는 어떤가? 날아간 파랑새를 찾아 어린 남매가 산을 넘고 물을 건너 길을 떠나지만 어디에도 파랑새는 없었다. 지친 나머지 집에 돌아와 보니 그토록 간절하게 찾아 헤맸던 파랑새가 집안 새장에서 노래하며 어린 친구들을 기다리고 있지 않은가.

이레 명상수도 끝에 파랑새의 도움으로 관음굴에 들어가 수행하니 연꽃이 피고 관세음보살이 나타나 그 자리에 홍련암을 세웠다는 의상의 이야기도 큰 흐름은 같다. ‘프랑스’와 소리가 비슷하여 ‘파랑새’와 연관짓기도 한다. 이름 짓는 이들이 먼저 주목하는 게 빛깔을 보는 것이다. 그런데, 모두 제 눈에 안경이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33
1060 깽깽이풀 바람의종 2008.03.06 7314
1059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09
1058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305
1057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02
1056 내 탓이오 바람의종 2008.04.03 7301
1055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00
1054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296
1053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294
1052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294
1051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285
1050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284
1049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282
1048 비지땀 風磬 2006.12.23 7281
1047 바람의종 2008.08.21 7280
1046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279
1045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274
1044 오늘은 왠지... 바람의종 2008.04.13 7274
1043 유명세를 타다 바람의종 2008.10.30 7274
1042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273
1041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273
1040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268
1039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