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6 08:23

파랑새

조회 수 746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파랑새

짐슴이름

“새야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 장수 울고 간다// 새야새야 파랑새야 우리 논에 앉지 마라/…/ 새야새야 파랑새야 우리 밭에 앉지 마라.”

애절한 사연과 노랫가락이 가슴으로 젖어든다. 갑오개혁 때 일본군에 맞서 나라를 지키려던 전봉준의 동학군을 풍유적으로 나타냈다. 여기 파랑새는 파란 군복을 입었던 일본군, 녹두꽃은 녹두장군 전봉준 또는 농민군들이다. 달리 파랑새의 ‘파랑’은 전봉준의 전(全) 자를 푼 팔+왕(八王)을 소리 내면 ‘파랑’이 되니까 전봉준을 가리킨다고도 한다. ‘파랑새’ 아닌 ‘녹두새’로 된 노래도 있다.

외세 침탈을 받지 않고 평화롭게 살기를 바라던 흰옷 입은 백성들 …. 노벨문학상을 받았던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파랑새>(L’Oiseau bleu)는 어떤가? 날아간 파랑새를 찾아 어린 남매가 산을 넘고 물을 건너 길을 떠나지만 어디에도 파랑새는 없었다. 지친 나머지 집에 돌아와 보니 그토록 간절하게 찾아 헤맸던 파랑새가 집안 새장에서 노래하며 어린 친구들을 기다리고 있지 않은가.

이레 명상수도 끝에 파랑새의 도움으로 관음굴에 들어가 수행하니 연꽃이 피고 관세음보살이 나타나 그 자리에 홍련암을 세웠다는 의상의 이야기도 큰 흐름은 같다. ‘프랑스’와 소리가 비슷하여 ‘파랑새’와 연관짓기도 한다. 이름 짓는 이들이 먼저 주목하는 게 빛깔을 보는 것이다. 그런데, 모두 제 눈에 안경이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0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4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410
1632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455
1631 산통 깨다 바람의종 2007.05.10 11006
1630 바람의종 2012.09.12 9008
1629 살림 風磬 2006.12.26 6366
1628 살망졍이 바람의종 2009.07.26 6551
1627 살사리꽃 바람의종 2009.09.07 7129
1626 살아 진천 죽어 용인 바람의종 2008.01.15 16501
1625 살얼음 / 박빙 바람의종 2010.10.30 10237
1624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493
1623 살짝궁, 살짜궁 / 살짝이, 살짜기 바람의종 2010.12.19 11191
1622 살찌다, 살지다 바람의종 2010.04.07 9995
1621 살처분 바람의종 2010.10.30 7372
1620 살코기 바람의종 2009.10.08 7599
1619 살쾡이 file 바람의종 2009.07.15 6122
1618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8041
1617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323
1616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79
1615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525
1614 삼박하다 風磬 2006.12.26 13694
1613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62
1612 삼삼하다 風磬 2006.12.29 11253
1611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