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6 08:23

파랑새

조회 수 742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파랑새

짐슴이름

“새야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 장수 울고 간다// 새야새야 파랑새야 우리 논에 앉지 마라/…/ 새야새야 파랑새야 우리 밭에 앉지 마라.”

애절한 사연과 노랫가락이 가슴으로 젖어든다. 갑오개혁 때 일본군에 맞서 나라를 지키려던 전봉준의 동학군을 풍유적으로 나타냈다. 여기 파랑새는 파란 군복을 입었던 일본군, 녹두꽃은 녹두장군 전봉준 또는 농민군들이다. 달리 파랑새의 ‘파랑’은 전봉준의 전(全) 자를 푼 팔+왕(八王)을 소리 내면 ‘파랑’이 되니까 전봉준을 가리킨다고도 한다. ‘파랑새’ 아닌 ‘녹두새’로 된 노래도 있다.

외세 침탈을 받지 않고 평화롭게 살기를 바라던 흰옷 입은 백성들 …. 노벨문학상을 받았던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파랑새>(L’Oiseau bleu)는 어떤가? 날아간 파랑새를 찾아 어린 남매가 산을 넘고 물을 건너 길을 떠나지만 어디에도 파랑새는 없었다. 지친 나머지 집에 돌아와 보니 그토록 간절하게 찾아 헤맸던 파랑새가 집안 새장에서 노래하며 어린 친구들을 기다리고 있지 않은가.

이레 명상수도 끝에 파랑새의 도움으로 관음굴에 들어가 수행하니 연꽃이 피고 관세음보살이 나타나 그 자리에 홍련암을 세웠다는 의상의 이야기도 큰 흐름은 같다. ‘프랑스’와 소리가 비슷하여 ‘파랑새’와 연관짓기도 한다. 이름 짓는 이들이 먼저 주목하는 게 빛깔을 보는 것이다. 그런데, 모두 제 눈에 안경이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47
1082 오고셍이 돌려줬수왕! file 바람의종 2010.01.11 7371
1081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371
1080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369
1079 로비 바람의종 2008.02.10 7368
1078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367
1077 검식, 감식 바람의종 2010.03.03 7366
1076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363
1075 단골 바람의종 2010.05.18 7358
1074 적이 바람의종 2007.03.23 7358
1073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56
1072 살처분 바람의종 2010.10.30 7351
1071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349
1070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349
1069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48
1068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45
1067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42
1066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42
1065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340
1064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40
1063 그라모 어쩝니껴? 바람의종 2010.02.25 7339
1062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37
1061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