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5 02:15

어눅이

조회 수 680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눅이

사람이름

1443년, 조선 세종 때 명나라에 주문사로 갔던 정분이, 제주에서 바람을 만나 중국으로 표류한 조곽실리 등에 대하여 우리나라 사람인지 본국에 확인하였다.

중국말로 적은 것은 ‘조궈시리·강관투·문톄마니·김사이송이·오젠뭐디·김아나지’(趙郭失里·江官土·門帖麻尼·金賽松義·吳眞莫弟·金阿那吉)인데, 확인하니 ‘조괴실이·강권토·문뎨만·金草松(김새송이)·오준모디·김어눅이(金於訥只)’였다. 우리나라 사람임이 확인된 뒤 이 사람들은 제주로 돌려보내졌다.

한자 이름에서 草(풀 초)를 써 ‘새’(사이)를 적고 있는데, 이는 땅이름에서도 보이는 표기법이다. ‘새’(新)로 시작하는 이름에 ‘새돌이·새돌히·새저니’도 있다.

‘괴실이’의 ‘괴’는 고양이로, ‘괴불이·괴쇠·괴똥이·수고이’와 같은 이름에도 보인다.

준모디에 쓰인 밑말 ‘준’은 ‘준이·준대·준돌이·준비’와 같은 이름에서도 확인된다.

‘어눅이’는 무엇일까? 사람 이름에 ‘어늑돌이·어늑비’가 있다. ‘어늑’이 ‘으름’을 이르는 고장말임을 볼 때 ‘어눅’은 어늑과 같은 말로 보인다.

실록에는 표류 기사가 적잖다. 우리나라 사람이 류큐(오키나와) 또는 중국 양주까지 표류하기도 하고, 중국인이 충남 비인의 ‘도둠곶’에 이르기도 했다. 떠밀려온 세계경제 위기로 국내 경제도 어렵다. 이 거친 표류는 언제나 멈출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5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1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850
2292 어르다, 으르다 바람의종 2010.09.01 10607
2291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84
2290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635
2289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46
2288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428
2287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513
2286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599
2285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43
2284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68
2283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223
2282 어딜 갈려고 바람의종 2009.12.18 8095
2281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908
2280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81
2279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88
» 어눅이 바람의종 2009.06.15 6807
2277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92
2276 어깨 넘어, 어깨너머 바람의종 2009.08.01 14555
2275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909
2274 어금지금하다 바람의종 2010.01.08 10586
2273 어금니, 엄니 바람의종 2010.10.06 8947
2272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43
2271 어간에서 ‘하’의 줄임 바람의종 2010.02.23 108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