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2 03:56

피죽새

조회 수 949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죽새

짐승이름

“바위 암상에 다람이 기고 시내 계변에 금자라 긴다. 조팝나무에 피죽새 소리며, 함박꽃에 벌이 와서 몸은 둥글고 발은 작으니 제 몸에 못 이겨 동풍이 건듯 불 때마다, 이리로 접두적 저리로 접두적, 너흘너흘 춤을 추니 긘들 아니 경일러냐.”(백구사)

 자연을 즐기던 선인들의 흥이 녹아든 노래다. 조팝나무에 ‘피죽새’ 소리가 나온다. 피죽도 먹지 못한 양 힘없이 운다고 피죽새란다. 하필이면 조팝나무에. 조밥(조팝)이라도 실컷 먹었으면 원이 없어서인가. 피죽은 뭔가? 피로 쑨 죽이다. 피는 논에 나는 잡풀로서 씨앗은 새의 먹이로 쓰이고 흉년이 들었을 때는 사람이 먹기도 한다. 고려 때 <계림유사>에 보면 사람들은 피쌀 곧 패미(稗米)로 짓는 피밥이나 죽을 먹었고, 쌀은 나라에서 정한 대로 관혼상제 같은 특별한 일이 있을 때나 먹도록 했다. 그러니 피죽 한 그릇도 못 얻어먹은 사람 같다는 말이 생겼을 법하다.

 피죽새는 흔히 밤꾀꼬리(夜鶯)라고도 이른다. 밤이 되면 배고픈 사람처럼 구슬피 운다고 한다. 야래향(夜來香)이 피면 밤꾀꼬리가 운다. “남풍이 시원하게 불어오고/ 밤꾀꼬리는 구슬피 웁니다./ 오직 야래향만이 향기를 내뿜습니다./ 나는 아득한 밤의 어둠을 사랑하고/ 밤 꾀꼬리의 노래도 사랑하지만/ 꽃 같은 꿈은 더더욱 사랑합니다.” 피죽새 우는 봄밤을 누구와 함께 깊은 속을.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6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79
224 바람의종 2007.03.31 8339
223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1724
222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9993
221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027
220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1889
219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817
218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542
217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852
216 피난, 피란 바람의종 2009.04.13 10189
215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02
214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628
213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067
212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0.03.07 9360
211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013
210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104
209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578
208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2997
207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705
»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499
205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822
204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186
203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3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