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2 03:56

피죽새

조회 수 959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죽새

짐승이름

“바위 암상에 다람이 기고 시내 계변에 금자라 긴다. 조팝나무에 피죽새 소리며, 함박꽃에 벌이 와서 몸은 둥글고 발은 작으니 제 몸에 못 이겨 동풍이 건듯 불 때마다, 이리로 접두적 저리로 접두적, 너흘너흘 춤을 추니 긘들 아니 경일러냐.”(백구사)

 자연을 즐기던 선인들의 흥이 녹아든 노래다. 조팝나무에 ‘피죽새’ 소리가 나온다. 피죽도 먹지 못한 양 힘없이 운다고 피죽새란다. 하필이면 조팝나무에. 조밥(조팝)이라도 실컷 먹었으면 원이 없어서인가. 피죽은 뭔가? 피로 쑨 죽이다. 피는 논에 나는 잡풀로서 씨앗은 새의 먹이로 쓰이고 흉년이 들었을 때는 사람이 먹기도 한다. 고려 때 <계림유사>에 보면 사람들은 피쌀 곧 패미(稗米)로 짓는 피밥이나 죽을 먹었고, 쌀은 나라에서 정한 대로 관혼상제 같은 특별한 일이 있을 때나 먹도록 했다. 그러니 피죽 한 그릇도 못 얻어먹은 사람 같다는 말이 생겼을 법하다.

 피죽새는 흔히 밤꾀꼬리(夜鶯)라고도 이른다. 밤이 되면 배고픈 사람처럼 구슬피 운다고 한다. 야래향(夜來香)이 피면 밤꾀꼬리가 운다. “남풍이 시원하게 불어오고/ 밤꾀꼬리는 구슬피 웁니다./ 오직 야래향만이 향기를 내뿜습니다./ 나는 아득한 밤의 어둠을 사랑하고/ 밤 꾀꼬리의 노래도 사랑하지만/ 꽃 같은 꿈은 더더욱 사랑합니다.” 피죽새 우는 봄밤을 누구와 함께 깊은 속을.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9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4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384
642 파랑새 바람의종 2009.06.16 7463
641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6968
640 어눅이 바람의종 2009.06.15 6804
639 죽갔쉐다래 바람의종 2009.06.15 6390
638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496
»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594
636 귀성 바람의종 2009.06.11 10614
635 믿그리 바람의종 2009.06.11 6332
634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85
633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050
632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9003
631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878
630 나이 바람의종 2009.06.01 6000
629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67
628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20
627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57
626 하더란대두 바람의종 2009.05.30 7271
625 아나운서 바람의종 2009.05.30 6330
624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33
623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519
622 왕구울개 바람의종 2009.05.28 7197
621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