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2 03:56

피죽새

조회 수 966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죽새

짐승이름

“바위 암상에 다람이 기고 시내 계변에 금자라 긴다. 조팝나무에 피죽새 소리며, 함박꽃에 벌이 와서 몸은 둥글고 발은 작으니 제 몸에 못 이겨 동풍이 건듯 불 때마다, 이리로 접두적 저리로 접두적, 너흘너흘 춤을 추니 긘들 아니 경일러냐.”(백구사)

 자연을 즐기던 선인들의 흥이 녹아든 노래다. 조팝나무에 ‘피죽새’ 소리가 나온다. 피죽도 먹지 못한 양 힘없이 운다고 피죽새란다. 하필이면 조팝나무에. 조밥(조팝)이라도 실컷 먹었으면 원이 없어서인가. 피죽은 뭔가? 피로 쑨 죽이다. 피는 논에 나는 잡풀로서 씨앗은 새의 먹이로 쓰이고 흉년이 들었을 때는 사람이 먹기도 한다. 고려 때 <계림유사>에 보면 사람들은 피쌀 곧 패미(稗米)로 짓는 피밥이나 죽을 먹었고, 쌀은 나라에서 정한 대로 관혼상제 같은 특별한 일이 있을 때나 먹도록 했다. 그러니 피죽 한 그릇도 못 얻어먹은 사람 같다는 말이 생겼을 법하다.

 피죽새는 흔히 밤꾀꼬리(夜鶯)라고도 이른다. 밤이 되면 배고픈 사람처럼 구슬피 운다고 한다. 야래향(夜來香)이 피면 밤꾀꼬리가 운다. “남풍이 시원하게 불어오고/ 밤꾀꼬리는 구슬피 웁니다./ 오직 야래향만이 향기를 내뿜습니다./ 나는 아득한 밤의 어둠을 사랑하고/ 밤 꾀꼬리의 노래도 사랑하지만/ 꽃 같은 꿈은 더더욱 사랑합니다.” 피죽새 우는 봄밤을 누구와 함께 깊은 속을.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8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83
1632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497
1631 산통 깨다 바람의종 2007.05.10 11040
1630 바람의종 2012.09.12 9017
1629 살림 風磬 2006.12.26 6381
1628 살망졍이 바람의종 2009.07.26 6552
1627 살사리꽃 바람의종 2009.09.07 7139
1626 살아 진천 죽어 용인 바람의종 2008.01.15 16511
1625 살얼음 / 박빙 바람의종 2010.10.30 10244
1624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42
1623 살짝궁, 살짜궁 / 살짝이, 살짜기 바람의종 2010.12.19 11191
1622 살찌다, 살지다 바람의종 2010.04.07 9995
1621 살처분 바람의종 2010.10.30 7374
1620 살코기 바람의종 2009.10.08 7613
1619 살쾡이 file 바람의종 2009.07.15 6123
1618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8047
1617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332
1616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2006
1615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672
1614 삼박하다 風磬 2006.12.26 13715
1613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94
1612 삼삼하다 風磬 2006.12.29 11284
1611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57 Next
/ 157